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앞서 살펴본 것처럼 오늘날의 우주론은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라는 개념을 도입한 수학 모형으로 우주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두 개념 모두 실체가 발견되지 않았다. 관측 결과를 잘 설명해주는 훌륭한 모형이지만, 아직 궁극적인 답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20세기 후반 등장한 ...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역할을 키우자는 것이 앞으로 국내 우주 개발의 기본 방향”이라고 밝혔다. 김승조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명예교수는 “우주산업의 발전에 있어서 정부의 지원 규모보다 중요한 것은 산업계가 우주개발에 관심을 가질 만한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초기 단계부터 민간 이전을 고려해 ... ...
-
- [Future] K팝과 인공지능의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그 누구의 소유도 아니니까요. 인공지능은 그런 문화를 만들 도구인 셈이죠.” 1월 30일 서울 중구 남산예술센터에서 국내 최초 인공지능 K팝 음반 레이블을 기획한 박찬재 엔터아츠 대표를 만났다. 박 대표는 작곡가이자 걸그룹 ‘걸스데이’의 기획자다. 국내 음반제작사인 엔터아츠는 영국의 ... ...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손상되면서 인지 기능이 저하된다. 묵인희 서울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와 이동영 서울대 의대 정신과학교실 교수 공동연구팀은 혈액으로 뇌의 베타아밀로이드 침착을 예측할 수 있는 키트를 개발하고 지난해 2월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 앤드 테라피’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뇌의 ... ...
-
-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태양전지 대신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다면 어떨까. 이태우 서울대 재료공학과 교수는 2015년 12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해 화제를 일으켰다. ‘페로브스카이트=태양전지’ 공식 깨태양전지와 LED 디스플레이는 모두 반도체를 사용하지만, 원리는 ... ...
-
- Intro. 극지, 끝없는 프론티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서울에서 1만7240km 떨어진 곳. 영하 26도의 춥고 가혹한 남극에 진출한다는 것은 대단한 용기와 결단이 필요했다. 그렇게 30년 전인 1988년 2월 17일, 남극에 건립한 첫 과학기지인 남극세종과학기지는 오늘날 대한민국을 세계 10위권의 극지 연구 국가로 도약시키는 토대가 됐다. 그간 북극에 ... ...
-
- [신학기 특별기획] 영재학교·특목고·자사고 합격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3호
- 1단계 영어 성적을 분석한 결과 최상위권으로 꼽히는 대원·경기·대전 외국어고, 서울·부산·청심·고양·동탄 국제고는 AA11이었다. 또 대일·명덕·한영외국어고, 인천·세종국제고는 AA11~AA12, 나머지 학교는 AA12~AA22까지도 합격한 것으로 분석됐다. 1단계 합격생 최고 등급인 AA11과 최저 등급인 AA2 ... ...
-
- Part 1. 평창 동계 올림픽, 과학 올림픽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일단 인간들의 동계 올림픽에 대해 먼저 알아봐야겠어. 어? 올림픽에 스키와 스케이팅, 썰매, 컬링밖에 없잖아? 사람들은 왜 올림픽에서 이 종목들만 겨루는 거지? 하계 올림픽에서 시작된 동계 올림픽?!올림픽은 1896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시작됐어요. 당시 육상, 사이클, 체조, 사격, 수영 등 9종목 ... ...
-
- Intro. 수학으로 보여주는 보이지 않는 우주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오늘날 우리는 관측 기술의 눈부신 발전 덕에 저 멀리 보이는 은하뿐만 아니라, 우주가 탄생한 지 얼마 안 됐을 때 남긴 흔적까지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우주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아직도 모르는 ‘무언가’가 훨씬 많다. 그 무언가는 우주를 설명하는 궁극의 방정식 속에 숨어 ... ...
-
- Part 1. [5%] 우리가 아는 것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우주 전체에 있는 물질 중 우리가 알고 있는 건 겨우 5%다. 빛은 우리가 매일 보기 때문에 아주 많을 것 같지만, 우주 전체로 봤을 때 1%에도 한참 못 미치는 미미한 양밖에 없다. 중성미자★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알고 있는 5%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지구나 태양 같은 천체를 이루는 바리온 물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