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 [수학공작실] 합동과 대칭을 이용해 만든 나만의 하트 무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합동과 대칭의 심미성조선시대에 쓰던 반짇고리는 바늘, 실, 골무, 가위 같은 바느질 도구를 담는 그릇이다. 나무나 종이를 주로 사용했으며, 모양은 네모반듯하거나 팔각형 또는 둥근 모양이다. 반짇고리에 있는 장식을 자세히 살펴보자. 합동인 꽃이나 새 장식, 대칭인 십장생 무늬를 조각해 칠하 ... ...
-
- [Issue] 요즘 ‘핫’한 롱패딩, 한국 겨울엔 필요 없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현재 한국인의 복장은 시베리아 수준인 셈입니다. 의복생리학을 연구하는 이주영 서울대 의류학과 교수는 “한국 날씨에는 패딩이 불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아이가 ‘나는 추위를 많이 타는 체질’이라고 주장하나요? 이를 어쩌죠, 두껍고 긴 패딩이 따뜻할 거라는 생각도 사실은 선입견에 ... ...
-
- Part 3. 온가족이 함께하는 확률게임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트럼프 카드를 이용한 게임 대부분이 경우의 수나 카드 사이의 규칙을 찾고 전략을 세워야 이길 수 있다. 간단하게는 같은 무늬의 카드를 많이 모으거나 같은 숫자 쌍끼리 맞추는 게임도 있다. 이런 쉬운 게임에서조차 남아있는 카드의 개수와 본인이 가진 카드의 조합을 따져야 하기 때문에 카드 ... ...
-
- [과학뉴스] 비트코인, 모르고 사면 독(毒)된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실제로 서울시는 장안평 중고자동차 매매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했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블록체인의 안전성이 가상화폐의 화폐로서의 가치를 보장하지는 않는다”며 “가상화폐의 가격은 기대감에 꾸준히 올랐지만, 기대가 꺾이는 사건이 발생한다면 거품이 순식간에 ... ...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오른쪽 그래픽)를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AI ‘알파고’에 적용된 딥러닝 기반 강화학습 기법을 적용해, 가상의 비행생명체가 장애물을 피해 스스로 날아다닐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결정적인 문제는 가상현실을 체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점이었다. 서울에 사는 흔한 싱글 여자의 집에서 눈을 가리고도 아무것과 부딪치지 않는 가로 세로 2m 공간을 확보한다는 게 생각만큼 쉽지가 않았다. 그렇다고 포기할 수는 없었다. 구글 카드보드를 쓰고 최대한 정적인 ...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용해 심장 조직을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의 신준섭 서울대 의대 교수는 “3D프린팅은 장기의 형태를 지지하는 구조체나 뼈 등 면역거부반응이 거의 없는 조직을 만들 때 유리하다”며 “여기에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첨단 세포 배양기술을 덧붙인다면 수술에 필요한 ... ...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반점이 생기거나, 여드름이 나기도 하고, 얼굴과 몸이 심하게 붓기도 합니다. 이명선 서울대 간호대 교수가 2017년 2월 발표한 ‘심장이식 환자의 체험: 현상학적 연구’ 논문에서는 심장이식을 받은 이들이 ‘외모의 심각한 변화로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자신감이 떨어져 전반적인 사회 활동을 ...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초의 오차율)보다 더 정확하다. 일본도 하는데 우리라고 못할쏘냐. 2017년 4월 개장한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왼쪽) 123층 전망대는 지상에서 500m 높이다. 높이로는 세계에서 세 번째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은 미국과 일본에 이어 2014년, 세계 세 번째로 광격자 시계를 개발하는 데 성공한 ...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인 프레이저 스토더트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의 제자인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였다. 합금반응 선택했더니 에너지밀도 50% up⇧최 교수는 박사과정에서부터 꾸준히 배터리를 연구해왔다. 그의 관심은 여느 배터리 연구자들처럼 배터리 효율을 올릴 수 있도록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