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개발했으며 한국 공군이 추진하는 차차세대 전투기 사업의 후보다 위상배열 레이더, 음성
인식
시스템, 헬멧장착 시현장치, 적외선탐지조준장치 등 다른 전투기에서 아직까지 흉내내지 못하는 최첨단장비가 설치돼 있다 특히 여기에 장착된 미카(MICA)는 장단거리를 모두 소화해내는 첨단 미사일이다 ... ...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것으로 알려졌다.키홀 위성은 해상도 10cm(가로 세로가 각각 10cm인 물체를 한 점으로
인식
할 정도)의 영상을 찍어내며, 야간에도 적외선 카메라로 온도차를 분석해 사람이나 물체의 이동을 감시할 수 있다. 해상도 1m의 래크로스 위성은 일정지역에 전파를 쏴 그 반사파를 읽어내는 합성개구레이더(SAR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나눠 만든 지도다프로모터는 DNA로부터 RNA를 합성하는데 관여하는 여러 단백질들이
인식
하는 유전자 부위다 아미노산 부호화 부위의 앞쪽에 위치하며 전사가 개시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사란 유전자 DNA를 주형으로 해 RNA 중합효소가 RNA를 합성하는 과정이다게놈 내에 존재하는 ... ...
휴대전화는 디지털 블.랙.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가로열과 세로열의 신호선이 접촉해 어떤 키를 눌렀는지 알 수 있다.마이크음성 신호를
인식
해 전기 신호로 바꾼다. 주로 콘덴서 마이크 사용. 목소리(음파)에 의해 2개의 진동판 중 하나가 떨리면 둘 사이의 축전 용량이 변해 전압이 변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재생한다.진동판을 매우 얇은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고유한 IP를 갖고 있다 DNS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주소'를 다른 호스트서버가
인식
할 수 있도록 IP로 바꾸어 각기 다른 인터넷 사이트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올려놓은 파일을 말한다다른 지역에 있지만, 인터넷에 연결돼 있는 컴퓨터 안의 파일을 가져올 수 있는 기능 ... ...
2. 가속도 붙은 사춘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괜히 했다’는 후회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요즘에는 자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이 많이 줄었지만 막상 자위를 하는 당사자, 특히 청소년은 자위를 한다는 사실 자체에 죄책감을 느끼고 혹시 잘못되지나 않을까 하는 부담을 갖는다.실제로 청소년과 상담해 보면 자위 자체가 주는 피로보다 더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이러한 추측을 지지해주고 있다. 이것은 당시 조선의 지도층들이 고구려를 우리 역사로
인식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다.과연 고구려에서 이러한 놀라울 만큼 정밀한 천문도를 만들 수 있었을까. 그 가능성은 유물들이 증언해준다. 4~7세기 동안 만들어진 고구려 고분벽화 103기 가운데 24기에 천문 ... ...
목소리의 기술 살리고~살리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일종의 ‘화음’인 셈이다. 이 때문에 사람마다 목소리가 다를 수밖에 없다. 음성
인식
시스템은 대개 목소리의 진동수를 분석하기 때문에 성대모사 소리를 진짜라고 오판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 ...
건축과 생명체가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건축가들은 건축을 정적인 대상이 아니라 역동적인 생명력이 잠재된 하나의 생명체로
인식
하기 시작했다.19세기 말~20세기 초 생물학자들이 살아있는 세포를 연구한 것도 바이오모픽 건축이 싹트는데 큰 역할을 했다. 현미경 덕분에 살아있는 세포를 관찰할 수 있게 되면서 예전에는 생명 현상이라고 ... ...
문근영도 몰랐던 졸음 쫓기 비법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리듬이 형성되지 않아서다.그런데 원래 우리 몸은 하루를 24시간이 아니라 24~26시간으로
인식
한다. 시간을 전혀 알 수 없는 무인도에서 일주기성 리듬만 따라서 생활하면 하루가 1~2시간씩(평균 90분) 많아진다. 생체시계가 정확히 24시간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이 때문에 시차적응이 ... ...
이전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