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후진하려고 했는데...차 밑의 아기 사슴팝뉴스 l2018.06.19
- 그런데 이 사슴을 차주가 발견한 것은 아니다. 누군가 메모를 앞유리에 남겨 놓았다. “오른쪽 바퀴 옆에 아기 사슴이 잠들어 있으니 조심하라는 내용이었다.” 여러 사람들의 아기 사슴의 단잠을 깨우지 않기 위해 애를 쓴 셈이다. 사진은 따뜻한 마음을 느끼게 해서 인기가 높다. ※ ... ...
- [표지로 읽는 과학] 상상하는 대로...3D 프린터로 찍고 자기장으로 조종하는 소프트로봇동아사이언스 l2018.06.17
- 3차원 형태로 변형한 예. 맨 왼쪽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이고 가운데는 초기 모양 맨 오른쪽은 자기장을 통해 제어해 완성한 3차원 구조다. 원하는 대로 동작과 모양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했다. -사진 제공 네이처 연구팀은 이 방식으로 수 cm 지름의 불가사리 모양 평면이 빠르게 3차원 물체로 ... ...
- 공간 일부만 보고 전체 모습 유추하는 AI… 2D 장면 몇 개로 3D 영상 만들어동아사이언스 l2018.06.15
- 몇 가지 장면을 관찰하고(왼쪽) 새로운 각도에서 봤을 때의 장면을 예측해 생성한 이미지(오른쪽). 같은 각도에서 촬영한 실제 모습과 AI가 생성한 이미지 간에 거의 차이가 없다. - 자료: 구글 딥마인드 GQN은 크게 ‘표현 네트워크’와 ‘생성 네트워크’로 나뉜다. 연구진은 컴퓨터로 만든 가상의 3D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회장 자리를 물러난다고 발표한 하워드 슐츠(왼쪽)와 2011년 작고한 애플 CEO 스티브 잡스(오른쪽). 두 사람이 창조한 카페문화와 스마트폰은 사람들의 일상을 바꿔놓았다. - 위키피디아 제공 스타벅스 매장에 가보면 아이폰에 받은 쿠폰을 제시하며 주문한 사이즈업 아이스아메리카노 한 잔을 앞에 ... ...
- [6.13선거 카운트다운] 투표용지 디자인, 어떻게 할까과학동아 l2018.06.11
- 일련번호가 찍혀 있습니다. 올해는 일련번호가 찍힌 위치와 절취하는 절취선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바뀌었습니다. 투표지 분류기의 종이 걸림현상(잼)을 줄이기 위해서랍니다. 이번 지방선거에는 1분에 340매의 투표용지를 분류하는(후보자 6인 기준) 분류기 총 2558대가 투입될 예정입니다. ... ...
- 쥬라기월드가 돌아왔다...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세 가지 과학동아 l2018.06.10
- 복원한 벨로시랩터는 몸길이가 약 1.2m이며 깃털로 뒤덮여 있어 새와 비슷하다(오른쪽) - 사진 GIB 제공 이 교수는 “다만, 중국에서 티라노사우루스의 조상격인 ‘관롱’과 ‘딜롱’의 깃털 화석이 발견돼 티라노사우루스도 깃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덧붙였다. 벨로시랩터의 경우 2007년 ... ...
- 식물 에너지 통로 조절 단백질 발견…열매 생산성 40% 증대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06.04
- 관다발 식물의 체관 발달에 관여하는 단백질 ‘줄기(JULGI)’의 발현을 조절한 결과(오른쪽), 자연 상태(왼쪽) 대비 식물의 열매가 최대 40%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연구재단·포스텍 제공 체관은 식물 속 연결통로다. 광합성을 통해 잎에서 만들어진 에너지인 당을 줄기, 뿌리, 어린 잎 등 ... ...
- 국내 연구진, 투명 금속전극 개발…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스마트 글래스 적용 가능동아사이언스 l2018.05.31
- 왼쪽)에서는 빛의 산란이 일어나 그물 구조가 눈에 보이지만 산화막이 형성된 투명전극(오른쪽)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 UNIST 제공 공동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속 구조 위에 얇은 산화막을 입혔다. 연구팀은 1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 분의 1m) 두께의 은 나노와이어를 그물 구조로 ... ...
- 하이퍼루프 실현할 미래 도시 인프라 무엇?...복층 터널, 콘크리트 튜브 등 주목동아사이언스 l2018.05.31
- 가속화 하이퍼루프 조감도. -SpaceX 제공. “이번 정거장 서울역입니다. 내리실 분은 오른쪽으로 내려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정거장은 부산, 도착 시간은 16분 뒤인 2시 30분입니다.” 15년 후에는 이런 안내 멘트를 들으며 여행을 하게 될 듯 하다. 최대 시속 1200km에 이르는 꿈의 열차, 하이퍼루프와 ... ...
- '세한도' 속 나무가 추위를 견디는 비결, DNA 구조 조절에 있었네동아사이언스 l2018.05.30
- 풀리면서 각종 유전자의 ‘스위치’가 켜지고 활성이 시작된다. DNA 한 가닥이 염색체(오른쪽)이 되기까지. 중간에 실패 모양의 히스톤 단백질에 DNA가 감기고 이후 이 실패가 차곡차곡 쌓이는 모습이 보인다. 이 구조를 염색질이라고 한다. -사진 제공 위키미디어 연구팀은 호스15 단백질이 이렇게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