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40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로 위 타이어 마모 미세먼지, 시뮬레이터로 배출량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한국기계연구원이 개발한 타이어 마모 미세먼지 시뮬레이터(왼쪽)와 실험용 체임버(
오른쪽
). 일정한 배출구가 없어 측정이 어려웠던 타이어 발생 비산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장비로, 타이어가 도로 위를 달리듯 타이어와 도로 표면처럼 까칠한 소재가 서로 맞닿으면서 회전하도록 만든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레이저로 분자를 만들어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6
반응을 일으키는 진공 챔버로, 챔버 안에는 화학반응을 일으킬 원자가 포획돼 있다.
오른쪽
으로 뻗은 선을 통해 두 원자의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레이저 빔이 나온다. 화학반응은 대개 반응물질이 만나서 충돌할 확률에 의해 결정된다. 각각의 반응물질의 운동성이나 크기 등에 따라 반응이 일어날 ... ...
[융합이 미래다] ① 석학도 못푼 과제… 젊은 과학자들 ‘융합연구’로 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5
‘청년과학기술인과 함께하는 토크콘서트’에서 강단비 삼성융합의과학원 선임연구원(
오른쪽
)의 의견을 경청하고 있는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왼쪽)과 김기현 포스텍 창의IT융합공학과 교수(가운데). 전승민 기자. 실용화가 빠른 것도 융합연구의 특징이다. 아모레퍼시픽은 항암 환자를 ... ...
스펀지가 물 빨아들이는 원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05.23
주성분이다. 셀룰로오스 스펀지의 흡수 팽창 과정(왼쪽 사진)과 식빵의 흡수 팽창 과정(
오른쪽
사진). 스펀지나 식빵은 기공이 늘어나면서 주변 기공과 합쳐져 물을 빨아들인다. - 서울대 제공 연구진은 스펀지가 물을 흡수하는 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스펀지 내부의 기공이 ... ...
국내 연구팀, 집단지성으로 ‘뇌 지도’ 발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1
대뇌의 뇌지도까지 만들 계획이다. 김진섭 한국뇌연구원 뇌신경망연구부 책임연구원(
오른쪽
)팀이 전자현미경 영상을 통해 만든 신경세포 말단의 구조를 확인하고 있다. 신경세포의 구조와 연결망을 일일이 파악하면 뇌지도를 만들 수 있다. -사진 제공 한국뇌연구원 뇌지도는 뇌 속 정보처리 ... ...
깜짝 놀라게 만드는 사진
팝뉴스
l
2018.05.18
평가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개가 찍혔던 것이다. 합성 사진일까. 아니면 운전자는
오른쪽
에 앉는 나라에서 촬영된 사진일까. 어느쪽이어도 사진은 정말 개가 운전하는 것 같이 보여서 신기하다는 평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 ...
라돈침대 부른 근본문제는 '음이온' ...과학계 “위험성 큰 유사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5.17
왼쪽)와 모나자이트 가루(
오른쪽
). 각종 음이온 제품에 가장 많이 쓰이는 광물이다. - wikipedia 제공 “(몸에 좋다는) 음이온이라면 방사성 물질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생각이 화를 불렀다.” 최근 대진침대 일부 제품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 업체가 방사성 물질(핵종) 토륨을 ... ...
[사이언스지식IN] 5일 만에 뒤집힌 원안위 대진침대 라돈 검출 발표, 왜 그들은 입장을 바꿨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5.15
드라이기까지 각종 제품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모나자이트(왼쪽)와 모나자이트 가루(
오른쪽
). 각종 음이온 제품에 가장 많이 쓰이는 광물이다. - wikipedia 제공 대진침대에서 사용된 모나자이트는 음이온 제품에 많이 쓰이는 광물입니다. 토르말린, 귀양석, 모나자이트 등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 ...
우리집 고양이의 숨은 비밀…고양이 연구들 ②
2018.05.09
어떻게 쓰는지 유심히 본 적이 있나요? 과학자들은 고양이들이 걷거나 먹을 때 왼쪽 또는
오른쪽
앞발에 대한 선호도가 각기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이러한 선호도가 성별에 따라 일정하게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입니다. 영국의 벨파스트퀸스대학 동물심리학 연구팀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반응하는 다양한 종류의 수용체 세포가 있다. 표피와 진피 사이에 있는 메르켈 세포(
오른쪽
파란색)는 가벼운 물리적 자극에 반응해 신호를 전달한다. 나이가 들어 메르켈 세포가 주는 게 만성적인 가려움증의 원인이라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 위키피디아 제공 건조한 피부도 가려움에 취약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