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종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구멍을 뚫은 뒤, 이를 돌돌 말아서 휴지를 만들었어요. 덕분에 지금 우리는 화장실에 휴지를 걸어놓고 원하는 만큼 풀어서 손쉽게 끊어 쓸 수 있게 되었지요.그런데 올해 3월 세스 휠러의 두루마리 휴지 특허문서가 최초로 공개됐어요. 문서에는 휴지 끝이 위로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전분 위주의 곡물까지 섭렵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잡식동물이 가진 소화생리학적 특성 덕분에 어마어마하게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을 먹어 치우게 된 것이다.삼시 세끼 꼬박 챙겨먹고 간식, 후식, 야식까지다양한 음식을 즐기는 데서 더 나아가, 인간은 자주 먹는다. 나라와 문화에 따라 차이가 ...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유명해요. 자동차나 시계하면 독일에서 만들어진 것이 값도 비싸고 좋은 평가를 받지요. 덕분에 인구가 7000~8000만 명밖에 되지 않는 작은 나라인 독일이 세계에서 손꼽히는 선진국이 됐답니다. 앞으로 우리 미래세대도 기계공학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갖고 경쟁력을 키워나갔으면 좋겠어요.Q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뜯어먹는 동안에도 항상 눈으로 주변 상황을 살필 수있다. 또 수평적인 시력이 뛰어난 덕분에 멀리서 천적이 다가오는 것도 비교적 정확하게 볼 수 있다.동물마다 각자 환경에서 먹이를 잘 사냥하도록, 또는 천적을 피해 달아나도록 눈동자가 진화했다는 사실이 정말 놀랍다 ...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힘이 생긴다. 즉, 요트는 바람으로 추진력을 만드는 돛과 물속에서 추진력을 만드는 용골 덕분에 쓰러지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최고의 물길을 계산하는 전술가경기 첫 날, 경기장 입구는 선수와 대회 관계자로 시끌벅적했다. 계류장에는 시합을 기다리는 요트가 죽 늘어서 있었다. 크기는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질량이 너무 작아 아직 측정도 하지 못했지만, 이번 노벨물리학상의 업적인 진동변환 덕분에 질량의 ‘차이’는 측정할 수 있게 됐다. 중성미자는 1930년경 핵붕괴에서 에너지와 운동량이 보존되지 않음을 설명하기 위해 볼프강 파울리가 제안한 입자다. 관측이 불가능하리라 여겨졌지만, 미국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아프리카녹색원숭이에서는 항염증유전자가 발현돼 면역세포들이 모이는 걸 억제한다. 덕분에 수티 망가베이처럼 아프리카녹색원숭이도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처럼 숙주가 병원균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을 피해 스스로를 지키는 현상이 관용(Tolerance)이다.미국 솔크생물학연구소의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한 명이 공을 오래 잡고 있지 않도록 지도했다. 선수들끼리 공을 빨리 주고받는 전략 덕분에 독일은 24년 만에 월드컵에서 우승할 수 있었다. 최근엔 축구뿐 아니라 테니스, 미식축구, 핸드볼, 하키, 농구 등다른 구기종목에도 추적 소프트웨어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소프트웨어, 어렵지 ... ...
- 따뜻한 피를 가진 빨간개복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우린 따뜻한 피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심해어들과 달리 빨리 움직일 수 있어요. 덕분에 사냥을 하거나 포식자를 피해 빠르게 도망 다닐 수도 있답니다.그런데 닥터 그랜마, 내가 빠른 건 맞지만 이걸 이용해서 지구 정복을 도와 줄 생각은 전혀 없답니다. 난 내가 살고 있는 지구를 사랑하거든요. ...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등 일상에서 친숙한 소재로 풀었다. 이야기 중심의 파격적인 서술 방식과 친절한 설명 덕분에 연재 당시에 고정 팬이 많았다. 이번 출간에 맞춰, 이 교수는 이 글들을 다시 1년 반에 걸쳐 다듬고 보충했다.이 책은 우리 인류의 ‘몸’과 행동의 기원을 파고든다. 그런데 시각이 독특하다. 땅에서 직접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