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수성에 접근했다. 그리곤 금성의 중력장을 이용해 수성을 근접 통과하는 데 성공했다. 덕분에 수성 표면에 있는 여러 개의 크레이터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과학자들은 이 사진으로 수성의 나이와 구성 성분을 연구할 수 있었다.수성 궤도에 탐사선이 정식으로 진입한 건 그로부터 35년 뒤로, NASA가 200 ...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경쟁을 ‘갈등’으로만 해석하지 않는 시선도 있다고 소개한다. 수컷과 암컷이 경쟁한 덕분에 정교한 번식 시스템을 완성해 나갈 수 있었다는 관점이다. 암컷이 수컷의 정자를 보관하는 것도 종 전체로 보면 이득일 수 있다. 적대적인 경쟁이 아니라 일종의 ‘공진화’를 한 셈이다. 또한 성 갈등은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북극에 비해 남극에 얼음이 많았다. 수성이 얼음을 가질 수 있는 건 특별한 자전축 덕분이다. 자전축이 수직에 가깝게 서 있어서 극지방은 영원히 그림자에 덮일 수 있다. 천문학자들은 물을 가진 혜성이 충돌한 이후부터 계속 얼음을 지녀왔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성은 ‘비너스’라는 영어 ... ...
- BRIDGE. 우리를 부르는 이상한 외계행성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GJ 436b해왕성 크기의 GJ 436b는 마치 혜성처럼 엄청난 가스 기류를 분출하며 이동한다. 덕분에 케플러우주망원경에 포착된 다른 외계행성과 달리 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처음 관측됐다. GJ 436b는 지구보다 22배 무거우며 적색 왜성 주위를 돌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5 행성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같은 뜻으로 쓰던 말이었다. 자연현상을 이해하는 데 수학의 중요성을 강조한 데카르트 덕분에, 이후의 학자들은 놀라운 발전을 이끌게 됐다. 그 중심에 미분과 적분이 있었다.뉴턴과 라이프니츠, 일반적인 법칙을 정리하다17세기 유럽의 많은 수학자들은 각자 특별한 방법으로 미적분을 발전시키고 ... ...
- [과학뉴스] 심해 ‘스파게티 괴물’ 촬영!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느리게 움직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이 생명체는 스파게티 면발 같은 길다란 촉수 덕분에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the Flying Spaghetti Monster)’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이 생명체가 ‘개충’이라고 부르는, 여러 다세포 생물로 구성된 군체동물의 일종(Bathyphysa conifer)이라는 것을 ... ...
- HFT, 인간을 주식시장에서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적발이 어렵기 때문이다. 사라오가 검거된 것도 사라오와 함께 일했던 동료의 내부고발 덕분이었다.차익거래 “너 이거 사고 싶지?”스푸핑보다 당국을 골치 아프게 하고 있는 HFT 전략은 ‘차익거래’다. 앞서 소개했던 시타델, 버추얼 파이낸셜 등이 이 방법으로 천문학적인 수익을 올리고 있다.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산업 문제 해결하는 헌터가 떴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지난 8월 17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는 ‘산업수학 문제헌터 발대식’이 열렸습니다. 산업수학 문제헌터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 가운데 수학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을 ... ‘겨울왕국’에서 눈보라가 실제처럼 휘날리는 장면도 수학에서 등위집합 이론을 활용한 덕분이랍니다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미적분학을 정리한 점은 분명합니다. 특히 뉴턴은 물리학에 미적분을 도입했습니다. 덕분에 인류는 수학의 언어로 우주를 논할 수 있게 됐습니다. 라이프니츠가 미분과 적분을 세상에 처음 선보인 사람이라는 사실도 부정할 수 없습니다. 또한 라이프니츠는 미분과 적분을 쉽게 쓰는 방법을 ... ...
- 익숙하지만 낯선 이름들, V와 Hz 그리고 W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그값이 빛의 속도와 같았다. 빛도 전자기파의 한 종류임이 밝혀진 것이다. 전자기파 덕분에 우리는 오늘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쓸 수 있다. 하지만 정작 헤르츠 자신은 전자기파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전혀 깨닫지 못했다고 한다. 헤르츠는 자신의 성공이 단순히 맥스웰의 예측이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