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6.5m짜리 반사망원경이예요. E-ELT나 TMT와 마찬가지로 육각형 거울을 조합한 형태로, 이 덕분에 허블보다 13배나 먼 거리까지 관측할 수 있답니다.제임스 웹은 적외선을 주로 관측해요. 적외선은 열을 내는 물체라면 어디서든 나오는 파장이에요. 관측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태양빛의 방해가 적고, ...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시간이 날 때마다 전국에 신기한 돌이 있다는 곳은 다 찾아다닐 정도였으니까요.직업 덕분에 해외에 나갈 기회가 많았는데, 그때도 쉬는 날마다 돌을 구하러 다녔지요. 작은 꿈이 있다면 우리나라에서 관찰할 수 있는 광물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특성과 사진을 정리해 한 권의 책으로 만들고 ... ...
- 쏟아지지 않는 핫초코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모두 흡수하기에 충분하다는 것도 계산을 통해 알아냈지요. 핫초코 위에 올라가는 거품 덕분에 산책을 하면서도 큰 흔들림 없이, 쏟지 않고 마실 수 있는 거예요.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가 라떼나 핫초코, 맥주뿐만 아니라 대용량의 액체를 운반하는 경우에 더 유용하게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 ...
- [가상 인터뷰] 문어는 회전대칭 구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슈퍼스타’ 문어입니다. 다리 8개가 제 몸통 주변을 빙 두르고 있는 게 보이시나요? 그 덕분에 전 어느 방향으로든 자연스럽게 갈 수 있답니다. 다들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그럴 수 있다는 게 놀랍다고 하더군요. 사실 전 고개가 돌아가지 않습니다. 얼굴이 늘 몸의 정면 방향을 보고 있죠. 불편하기도 ... ...
- [지식] 무엇이든 붙여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진짜 아끼던 컵 손잡이가 깨졌을 때, 지갑이 찢어졌을 때, 우린 모두 ‘이것’을 찾는다. ‘이것’만 있으면 감쪽같이 원래대로 물건의 상태를 돌려놓을 수 있기 때문이 ... 수사와 의료 분야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이런 활약이 가능할 수 있었던 건 분자의 무한한 가능성 덕분이 아닐까 ...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달릴 수 있다. 특히 육식공룡은 큰 꼬리로 균형을 잡고 두 다리로 걸어 다녔다. 이런 특징 덕분에 공룡은 당시 다른 파충류에 비해 거대한 몸집을 가질 수 있었다. 생각보다 똑똑한 공룡의 탄생은 나비효과자이로스피어를 타고 돌아다니던 중, 드디어 인도미누스 렉스와 맞닥뜨렸다. 인도미누스 ... ...
- [과학뉴스] 고구마, 세균이 만든 천연 GMO?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고구마의 우월한 형질이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이라는 세균에서 온 유전자 덕분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아그로박테리움은 식물을 감염시켜 근두암(뿌리혹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다. 벨기에 겐트대 분자생명공학과 티나 킨트 교수팀은 고구마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 ...
- 조곤조곤 풀어보는 문화재의 수수께끼 ④ 조선 왕릉 연구의 기틀을 닦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2009 년), 40개의 왕릉 전체에 대한 정밀한 실측 자료와 역 사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덕분에 지금은 이 아름다운 문화재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예전보다 월등히 높아 진 상태입니다. 물론 이 과정이 결코 쉽지는 않았습니 다. 제대로 된 사진이 없어서 먼저 사진 촬영부터 했습니다.사진도 부족한 ...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도망간다.바실리스크도마뱀의 이러한 놀라운 특기는 재빠른 발 동작과 다리 구조 덕분이다. 뒷발로 빠르게 수면을 내리 밟으면 발바닥과 수면 사이에 공기방울이 만들 어지는데, 바실리스크도마뱀은 이 공기방울이 없어지 기 전에 재빨리 반대 발을 수면으로 내리 밟는다. 게다 가 ... ...
- 페르시아만 산호의 생존 비결은 ‘조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조류를 분석해, 다른 바다에 없는 특별한 조류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이 조류 덕분에 산호가 높은 수온에 견딜 수 있다고 결론짓고, ‘열을 좋아하는 공생자’라는 뜻으로 ‘심바이오디니움 써모필럼(Symbiodinium thermophilum)’이라고 이름 붙였답니다. 연구팀은 산호와 조류가 미래의 환경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