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d라이브러리
"
둘
"(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대한민국 수학 국가대표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성기 저랑 준혁이는 지난해 IMO에서 은상을 받았어요. 우리나라 대표 6명 중에서 저희
둘
만 은상을 받아서 내심 안타까웠어요.준혁 저도 그 영향이 커요. 금상을 받았더라면 올해는 안 했겠죠. 다른 친구들에게 국가대표 자리를 양보하는 것이 미덕이거든요.여느 스포츠 종목과 마찬가지로 수학 역시 ... ...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다른 능력을 보이는 것이다.어미 원숭이 한 마리와 새끼 원숭이 한 마리가 있을 때,
둘
은 서로 다른 대상이지만 각각 한 마리로 추상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에 셈한 결과 두 마리라는 사실을 얻는다. 이처럼 인간은 문자나 기호로 된 상징을 자연스럽게 사용한다.수학 수업 때는 문자나 수식과 같은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다.물고기의 시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어안렌즈도 있다. 어항 속의 물고기가 주변을
둘
러본 것과 같은 모습이다. 초점거리가 매우 짧아 풍경이 심하게 왜곡돼 보이는 현상이 생긴다. 하늘에 있는 구름의 양을 전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쓰이던 렌즈다.실내 사진 잘 찍는 3가지 비법 실내에서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물의 표면장력을 줄이기 위한 계면활성제가 들어 있다. 이 계면활성제는 공기방울을
둘
러싸 방울 표면을 두껍고 단단하게 만든다. 공기방울이 위로 올라갈 때는 이 계면활성제도 같이 따라 올라간다. 그러다 보니 계면활성제가 많을수록 그만큼 올라가는 속도도 느려진다. 따라서 공기방울이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현대는 교통카드나 2012년에 도입될 전자주민등록증처럼 작은 크기에 많은 정보를 담아 편리하게 이용하는 전자정보시대다. 그러나 편리해진 만큼 분실이나 해킹으로 ... 응용분야에 대한 관심과 적용 능력을 갖춘 사람에게 적합하다는 설명이다. 실제 이
둘
을 모두 갖춘 인재가 드물다 ... ...
동문과 관찰지도교사의 힘 청주교대 과학 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가운데 Co에 협력(Cooperation)이라는 의미를 덧붙이고자 합니다. “혼자 가면 빨리가지만,
둘
이 가면 멀리 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현대의 수학과 과학은 공동체 속에서 함께 토론하며 힘을 합칠 때 더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는 학문이 됐습니다. 다른 사람과 대화하면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키워나가고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구성돼 있는데, 비눗물에 공기가 들어가 거품이 생기면 물을 싫어하는 부분이 공기를
둘
러싼다. 반대쪽에는 물이 모인다.이것이 바로 비눗방울이다. 이렇게 비누 분자가 물과 공기와 적절하게 결합해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물거품에 비해 비눗방울이 오래 유지된다.비누와 물을 어떤 ... ...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무게는 모두 물체를 측정할 때 쓰는 용어지만 가끔씩 헷갈리기도 합니다.
둘
을 정확하게 구별하기 위해서는 부피를 이해해야 합니다.부피는 물체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말합니다. 부피가 크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부피가 작으면 공간을 조금 차지하지요. 가령 한 모서리의 길이가 1cm인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비슷한 세포로 분화시키는 정도였다. 예를 들어 신경교세포를 신경세포로 바꾼다던지(
둘
다 외배엽에서 유래한 세포다) 섬유아세포를 근육세포로 바꾸는(
둘
다 중배엽에서 유래한 세포다) 정도였다. 배아는 발생초기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으로 나뉜 뒤 각각의 계열에 따라 여러 세포로 분열한다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염해 둔 천 덩어리였다. 휴식도 잠시, 발굴단은 미라가 있기를 기대하며 다시 옷을 하나
둘
씩 풀어내기 시작했다.작업을 진행한 서경숙 교수는 “우리네 조상들은 예로부터 시신을 관에 넣을 때 먼저 ‘수의’를 지어 입힌 후, 평소 고인이 입던 옷을 여러 겹 다시 입혀 꽁꽁 묶어 둔다”고 설명했다. ... ...
이전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