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d라이브러리
"
둘
"(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실력이 없는 사람과 믿음직하지 않은 사람
둘
중엔 누구를 떨어트리는 것이 도움이 될까. 믿음직하지 않은 사람을 떨어트리는 게 낫다. 게임을 잘하더라도, 언제 배신할지 모르기 때문이다.출연자가 줄어 개인 간 게임으로 바뀌면 전략이 달라진다. 게임에서 매번 ... ...
소리공학연구소에서 찾은 소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주셨어. 휘제는 입을 크게 벌리고 목소리에 굴곡을 넣으면 더 다정하게 들릴 거래.
둘
다 목소리의 끝을 경쾌하게 올리면 아빠의 용돈이 달라질 거라고 충고도 해 주셨단다.멋진 목소리 만드는 비법!박경림 언니는 예쁜 목소리는 아니지만, 다정하고 경쾌한 목소리로 라디오 MC도 하고 있어! 우리도 ... ...
PART 3 힘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양력이 있죠. 비행기에 작용하는 네 가지 힘이 각각 마주 보며
둘
씩 평형을 이루고 있으면 비행기는 일정한 속도를유지하면서 직선으로 비행하게 되는 거예요. 그렇다면 힘의 평형이 깨지면 어떻게 될까요? 이때 가장먼저 생각해야 하는 건 무게중심! 무게중심을 정확히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숨 막히는 스포츠 속 운동화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매는 ‘오버랩’ 방식은 발을 단단히 고정시켜 주기 때문에 단거리 달리기에도 좋다.
둘
을 더한 ‘오버언더’ 는 위쪽에서 시작한 뒤 한 번은 구멍 아래에서 위로, 다음은 구멍 위에서 아래로 끈을 매는 방식이다. 발이 굵은 사람을 위한 ‘나비넥타이’ 방식도 있다. 양쪽 끈이 교차하는 횟수를 줄여 ... ...
PART 1 오디션에 숨어 있는 3가지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수학의 ‘퍼지이론’ 으로 설명할 수 있다. 퍼지이론은 논리 값이 참(1)이나 거짓(0)
둘
중 하나가 아니라, 논리에 따라 0에서 1 사이의 값을 연속적으로 취한다. 애매하고 불분명한 문제 앞에서 우리 뇌가 판단하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재현한 이 이론은 시스템 제어나 인공지능에 응용된다.실제로 ... ...
[수학클리닉] 함수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정해진 휴대전화 번호, 우리 집 주소 등을 보면 우리는 이미 생각보다 많은 함수에
둘
러싸여 살고 있으니까요.한 걸음 더여러분은 12쪽 화이트보드에 적힌 문제의 답을 고민해 봤나요? 이 문제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많이 실수하는 문제예요.중학교 1학년 때 처음 배우는 함수의 그래프는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그린(녹색)화학연구단 박용기 박사의 안내로 새로운 나프타분해공정 파일럿플랜트를
둘
러보던 기자는 하마터면 미끄러져 엉덩방아를 찧을 뻔했다. 바닥을 보니 밀가루처럼 하얀 가루가 흩어져 있다. 파일럿 플랜트란 실험실에서 성공한 반응을 대형 플랜트로 상용화하기 전에 중간 단계로 규모를 ... ...
턱이 귀가 된 사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들 뼈는 이미 씹는 기능을 잃어버리고 귀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다”고 밝혔다. 뼈를
둘
러싼 연골이 뼈가 안정적으로 자리잡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사실 또한 밝혀냈다. 반면 2억 년 전에 살았던 포유류의 아래턱뼈는 아직 파충류와 가깝다. 여전히 아래턱에 붙어 있고 씹는 역할과 듣는 역할을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지난 뒤 칠레 중앙에 있는 푸예우에 화산이 사납게 분출했다. 25년 만의 분화였다. 이
둘
의 공통점은 지진이 발생한 지역과 매우 근접한 화산이, 며칠 내에 분화했다는 점이다. 킬라우에아 화산의 경우 꾸준히 압력이 높아져 언제라도 터질 준비를 하고 있었다. 두 경우 화산이 분화하는 데 지진이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사람이었다. 그는 학생들과 물리에 대해 토론하기를 좋아해서 수업 뒤에도 학생들에
둘
러싸여 있기 일쑤였다고 한다. 애버딘대에 있을 때는 돈을 받지 않고 매주 15시간씩 공장노동자들을 위해 야간 강의를 하기도 했다.뉴턴이나 아인슈타인을 아는 사람은 많아도 맥스웰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전기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