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결"(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node)으로 표시한 뒤, 둘 사이에서 일어나는 결합,활성화, 억제, 인산화 등의 상호작용을 연결선 형태로 표시한다. 수많은 단백질들의 관계 정보를 한꺼번에 표시하면 거대한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 이 센터장은 “질병과 관련한 단백질 네트워크 모델을 만든 뒤 이를 분석하면 어떤 단백질이 핵심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는 세균도 있습니다. 데이노코쿠스 라디오두란스가 대표적입니다. 스스로 DNA 조각을 연결시켜 생체를 복구시킬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방사능 물질이 있는 곳에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물론 우주는 지구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강한 방사능에 노출된 환경이기는 하지만요. 낮은 온도에서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내용을 이해해 그에 맞는 일을 처리하지요. “메일!”이라고 하면 메일 앱을 자동으로 연결해 주고, “오늘 서울 날씨는 어때?”라고 물어 보면 그 날의 서울 날씨를 바로 보여 주는 식이지요.음성인식 과정은 왓슨이나 엑소브레인이 퀴즈를 푸는 것과 비슷해요. 들은 문장 중 핵심적인 단어들을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정보를 합쳐서 나타난 변화를 3D TV에 보여 주는 거예요.또한 컴퓨터 두 대가 네트워크로 연결돼 있어서 멀리 떨어져 있는 친구와 젠가를 할 수 있답니다.”가상현실로 공부하고 여행하고~기자단 친구들은 처음엔 모든 나무토막을 한꺼번에 쓰러뜨리기도 했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나무토막을 ... ...
- [따끈따끈한 수학] 이름 따라 행복한 결말 맺을까? 해피 엔딩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안에 있는 두 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다음 직선의 한쪽에 있는 삼각형의 두 꼭짓점과 연결해 사각형을 만들면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사각형은 반드시 볼록사각형이 되지요.사랑의 큐피드가 된 볼록n각형 문제사실 이 문제는 꽤나 유명합니다. 문제를 낸 사람과 문제를 수학적으로 일반화한 사람이 ... ...
- [참여] 이런 게 다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그래서 신뢰도가 높은, 즉 검색어와 관련된 사이트 중 가장 유용한 사이트로 연결한다. 임 연구원은 영화 추천 사례를 이용해 페이지랭크 계산법을 소개했다.끝나지 않은 이야기두 연구원의 재밌는 강연이 끝난 뒤 질의응답 시간이 이어졌다. 수학을 공부를 하고 있는 강연자에 대한 궁금증부터 ... ...
- [과학뉴스] IS 온라인 선전 활동 분석 첫 공개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지수가 남성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매개 중심성은 연결망 내에서 한 점이 다른 점들 사이에 위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값이 클수록 중재자로서 역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연구팀은 여성 이용자들이 비록 그룹의 장은 아니지만, 그룹 내 소통에 중요한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pone.0016268). 프랑스 보르도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중해식 식단은 뇌 신경 연결망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doi:10.1016/j.jalz.2015.06.1888).흥미롭게도, 세 종류의 식단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해산물과 적당한 양의 육류, 그리고 채소를 곁들인 식사라는 것입니다. 반면,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켄 리벳 교수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타원방정식과 연결시킨 뒤, ‘다니야마-시무라의 추론이 옳다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도 옳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가상의 다리가 정말 있다면, 그리고 그 다리를 지나가기만 한다면 보물을 얻을 것이라는 말이다.이제 남은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없어도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다. 명관(syrinx)이 있기 때문이다. 명관은 폐가 기도와 연결되는 부위에 있는 기관으로 새로 하여금 예쁜 울음소리를 낼 수 있게 해준다. 혹시 티라노사우루스나 트리케라톱스도 새처럼 명관을 이용해 예쁘고 아름다운 소리를 낼 수 있던 건 아닐까. 하지만 명관은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