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정"(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5000년 경의 부엌에서 9L 크기의 항아리 여섯 개가 발견됐는데 항아리 밑바닥에서 타닌 결정이 발견됐다. 하지 피루즈에서는 야생 포도가 아닌 재배를 위해 개량된 포도 씨앗도 발견됐다. 이 지역에서 포도 외에 타닌을 만드는 다른 과일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신석기인들이 의도적으로 포도를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한 때나마 실제로 일어난 일이다. 그러나 미래는 말 그대로 오지 않은 것일 뿐 아니라 결정돼 있지 않다. 지금의 어떤 계기들을 통해 미래는 얼마든지 다른 모습이 될 수 있다. 이 관점을 ‘자라나는 블록 우주’라고 부르기도 한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는 실재하지만, 미래는 아직 존재하지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항로를 새로 결정한다. 좌표는 안전한 항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영해의 범위를 결정하는 기준이기도 하다. 영해는 물이 완전히 빠지는 지역에서 12해리까지다. 이보다 엄밀해야 하는 법에서는 좌표로 기준점을 나타낸다. 우리는 보물을 찾았지만, 알고 보니 우리를 보물로 이끈 좌표야말로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나를 구별해 주는 특징벡터생체인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특징을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일이다. 일부 특징을 가지고 본인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얼굴 인식을 예로 들면 눈·코·입의 상대적 크기와 이들 간의 거리, 얼굴을 여러 구역으로 나눴을 때 각 구역 안에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증가하는 양이 무한히 작아진다는 것을 알았는데, 페르마가 이를 극대값과 극소값을 결정하는 방법론으로 발전시켰다. 영국의 수학자 아이작 배로는 그 뒤를 이어 미분과 적분이 역연산이라는 사실을 최초로 깨달았다(이 중요한 발견이 소위 미적분의 기본 정리다). 하지만 당시까지 미적분은 ... ...
- [Fun] 영장류학자가 찾은 인류 폭력성의 기원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공격할 필요가 없다. 먹이와 짝짓기 때문에 싸움이 붙는 경우는 종종 있어도, 승자가 결정되고 갈등이 해소되면 그걸로 끝이다. 그럼 인간의 폭력성은 어디서 온 걸까. 주이치 교수는 자신이 관찰하던 침팬지 무리에서 그 실마리를 찾았다. 침팬지의 싸움은 인간의 싸움과 뚜렷한 차이가 있다.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 사람 눈의 구조.원추세포는 색깔을 구별하고, 간상세포는 빛을 감지한다.시력을 결정하는 데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이 있어요. 앞에서 잠깐 말했던 ‘시세포’예요. 척추동물의 시세포는 눈의 망막에 분포하며, ‘원추세포’와 ‘간상세포’로 구성돼 있어요. 원추세포는 빨강, 초록, 파랑 빛에 ... ...
- [생활] 내 손 안의 자산관리사, 핀테크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가격을 분석해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주식의 가격이나 주가 지수에 따라 투자 수익이 결정되는 ‘주가연계증권(ELS)’도 SW의 도움 없이는 도박이 되기 쉽다. 주식의 1년 뒤, 3년 뒤, 5년 뒤의 가격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곧 컴퓨터로 24시간 고객의 자산 관리를 해 주는 핀테크 자산운용사와 모든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순간의 온도와 압력 조건이 두 행성의 환경과 유사하다. 실제로 두 행성에는 다이아몬드 결정의 원료인 메탄(탄소)이 다른 행성들에 비해 월등히 많다.명왕성은 행성은 아니지만 요즘 사람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다. 지난 7월 탐사선 뉴호라이즌 호가 명왕성의 1만2000km까지 ‘플라이바이(근접통과 ... ...
- BRIDGE. 우리를 부르는 이상한 외계행성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모두 다이아몬드일 걸로 추정된다. 행성에 작용하는 매우 높은 압력이 내부 탄소 성분을 결정화시킨 결과다. 당장 날아가고 싶지만 거리는 좀 멀다. 4000광년 떨어진 중성자별(펄사)의 주위를 돌고 있다. ▲혜성 아니고 행성, GJ 436b해왕성 크기의 GJ 436b는 마치 혜성처럼 엄청난 가스 기류를 분출하며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