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나무 사이를 날아다니는 하늘다람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구멍 사이로 하늘다람쥐 두 마리가 빼꼼 얼굴을 내밀고 있어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하늘다람쥐는 앞다리와 뒷다리를 쫙 펴고, 바람을 이용해 나무와 나무 사이를 날아다녀요. 바람이 충분하면 최대 100m까지 날아서 이동할 수 있답니다.하늘다람쥐는 침엽수와 활엽수가 자라는 숲에서 살아요.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얼굴 인식 세포가 망가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른 사람은 잘
알
아보면서 A만 못
알
아볼까? 낯선 사람들을 한꺼번에 만난 경우에는 어떨까. 새로운 얼굴에 대한 인식 세포가 생성되기 전인데, 이들은 어떻게 구별하는 걸까. 올해 7월 도리스 차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생물학및생명공학부 교수팀은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해결하는 연구보다는 우리를 보호할 수 있는 연구에 관심을 가져 줬으면 좋겠어. 다들
알
다시피 남극의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우리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거든. 남극 얼음이 줄어들면서 우리의 먹이인 크릴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들 해. 현재와 같은 속도로 지구 온난화가 지속된다면 210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바로 간접 상호성 이론이다. 따라서 누가 협력하고 누가 배신했는지가 집단 내에 쉽게
알
려지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실생활에서 협력을 더 꽃피울 수 있다. 여러분이 공공 정책을 입안하는 지도층이라면, 시민들로부터 협력을 유도하는 방안으로 또 어떤 것이 있을까. ‘착한 일을 하면 복을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수학만
알
것 같다’는 편견은 잊어주세요! 수학자라고 수학만 파지 않고 두루두루 잘
알
아요. 저만해도 스포츠에 관심이 많아요. 문학에 박학다식한 수학자도 계시고요. 한 분야에 꽂히면 열심히 하기 때문에 수학 외에도 잘 아는 분야가 한두 개 씩은 있는 것 같아요. 수상을 축하드려요! ... ...
[과학뉴스] 몸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알
을 낳아요. 그리고
알
이 부화해 올챙이가 물 밑으로 떨어질 때까지 수컷 개구리가
알
을 지키지요. 개구리가 번식하는 데 물이 중요해서 남아메리카 원주민 말로 ‘물’이라는 뜻의 ‘야쿠’라고 이름 지었답니다.하지만 이 개구리는 발견과 동시에 멸종 위기인 것으로 밝혀졌어요. 연구를 이끈 ... ...
[가상인터뷰] 나무를 올라타는 염소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아니라 침을 뱉는 행동도 씨앗을 멀리까지 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앞으로 우리의 똥뿐만 아니라 침을 뱉는 행동까지 모두 주의 깊게 관찰해 주세요! 그럼 이만 안녕 ... ...
[과학뉴스] “목 말라요” 식물 대신 말해주는 센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용하면 실내 화분뿐 아니라 너른 평야에서도 농작물에게 물이 적당히 공급되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랩온어칩(Lab on a chip)’ 11월 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1039/C7LC0093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손을 뻗칠 수 있을까? 그 중에도 생물학자가, 주변의 사소한 생명체들에 대해
알
기 위해 인생을 바치는 안타까운 개체가 있을까? 관벌레 분류학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생태계의 가장 유명해 보이는 학자에게 도움을 구할 정도로 안타까운 개체가? 취한 과학자의 머릿속에서나 나올 법한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이용해 15번째 무늬를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최근까지도 15가지 방법이 전부인지를
알
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2017년 7월, 프랑스 국립연구소의 미카엘 라오 박사가 볼록오각형을 테셀레이션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뿐이라는 걸 증명했다고 밝혔습니다. 증명은 라이스가 고안한 아이디어에서 시작해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