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지난 다음에는 액체 상태 용매의 빈 공간이 모두 용질의 분자에 의해 채워지고, 용질
표면
의 분자들은 더이상 확산해 나갈 공간이 없어지므로 더이상 녹지 않는다. 이를 ‘포화됐다’고 한다. 생명과학 Q1. [민감성, 정교성] 영국의 과학자인 제임스 러브룩이 1970년대에 제안한 ‘가이아 가설’은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역전현상이라 한다. 이러한 지자기장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고 에너지 하전입자가 지
표면
에 도달하는 것을 막 아주는 방어막 역할을 한다. 고 에너지 하전입자는 지자기장에 의해 경로가 바뀌어 지구를 비껴가거나 밴 엘런대에 모인다. 이러한 하전 입자가 공기 중의 질소 혹은 산소와 충돌하면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쉽다. 지구 적도 상공 정지궤도의 한 점에서 지상으로 케이블을 늘어뜨리면 언제나 지구
표면
위에 수직으로 솟아있는 엘리베이터를 만들 수 있다. 정지궤도인 3만 6000km 상공은 지구의 중력과 원심력이 똑같아지는 고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3만 6000km 보다 높은 곳에 중력을 상쇄할 수 있는 무게추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새로운 메커니즘은 아데노신이라는 신호분자가 관여한다. 즉 침의 자극을 받은 세포의
표면
에서 아데노신이 만들어지면 A1R이라는 수용체가 이를 감지해 진통효과를 인다는 것. 흥미롭게도 A1R은 카페인에도 반응한다. 따라서 A1R이 이미 카페인과 합돼 있다면 아데노신이 만들어져도 붙을 자리가 ... ...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지만 대부분 2달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했다. 면역거부반응 때문이었다.특히 동물세포
표면
에 붙어 있는 ‘알파갈’이라는 당 성분이 치명적이다. 인체의 면역시스템이 이 성분을 발견할 경우 면역거부반응이 불과 몇 분 안에 나타난다. 바로 ‘초급성 면역거부반응’이다. 다른 동물의 장기를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해부학적으로 경락을 찾으려는 봉한학설 [토끼 방광
표면
에서 발견한 관. 소광섭 교수는 이 관이 경락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봉한학설은 1960년대 북한의 김봉한 박사가 경락을 해부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세운 이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소광섭 서울대 물리학부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거칠게 변한다.썰매의 뼈대는 ‘다공성 나노구조’ 외피로 덮여 있다. 이 외피는 골프공
표면
처럼 작은 구멍이 많이 있다. 이 때문에 구멍마다 작은 소용돌이가 생겨 썰매 전체가 받는 큰 소용돌이(공기저항)를 줄일 수 있다. 나노구조 외피 덕분에 썰매가 받는 공기저항은 최대 90%까지 줄어든다 ... ...
네안데르탈인 사춘기 빨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말했다. 치아의 생장선은 상아질과 에나멜에 칼슘이 쌓이면서(석회화) 생긴다. 치아
표면
에 연속적으로 나열된 생장선의 개수를 세고 그 사이의 너비를 재면 치아가 자란 속도와 기간을 계산할 수 있다. 영구치에는 출생 때의 생장선이 남아 있어 몇 살에 죽었는지도 알 수 있다.그 결과 연구팀은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LCD회로와 PDP패널 공정에도 쓴다. 또 플라스마의 높은 에너지 특성을 이용해 물질의
표면
을 가공하거나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도 이용한다.3. 어디에 있어요?서울대 원자핵공학과는 핵융합과 플라스마 공학을 연계한 커리큘럼을 갖고 있다. 물리학과에서도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을 다루는데, ... ...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흐르면 두께에 따라 속도가 달라진다. 지면에서는 마찰이 생겨 느리게 흐르지만 빙하
표면
으로 가면서 속도가 빨라져 속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경사가 급할수록 이런 현상은 크게 나타난다. 그 결과 얼음이 쩍쩍 갈라지면서 ‘주름살’이 생겨버렸다. ❶ 빙하가 만든 S라인 U계곡빙하는 서서히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