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세계관은
하늘
과 땅과 사람이 연결돼 있다는 것이다. 한의학 역시 인체의 구조와 기능이
하늘
과 땅을 본받아 이뤄졌다는 천인상응이론(天人相應理論)을 따른다. 또한 인체를 소우주로 보기 때문에 우주 운행원리인 음양을 중심으로 한 음양오행설을 핵심원리로 삼는다. 한의학의 자연관과 인체의 ... ...
[허풍의 퍼을 세계일주] 뉴욕시에 영웅 탄생!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대통령인 율리시스 심프슨 그랜트를 기념해 공원 이름이 붙여졌지.” “앗! 저기 물이
하늘
로 솟아올랐어요. 선생님, 보셨어요? 방금 폭포가 땅에서 솟아올랐다고요.”도형은 믿어지지 않는지 눈을 비벼 가며 다시 한번 살펴본다. 허풍도 그 광경을 보고 놀랐지만 로이드에게 무시당하기 싫어 ... ...
Part 2. 달력은 정보의 바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바탕으로 24절기를 정해 놓고 농사처럼 계절이 중요한 일에 활용했습니다.24절기는
하늘
에 고정된 별 사이를 움직이는 해의 위치를 이용해 만들었습니다. 원의 중심은 360˚이므로 해가 움직이는 길을 24등분하면 15˚간격을 이룹니다. 날짜를 따지면 약 15일이 됩니다. 해가 정동쪽에서 뜨는 춘분을 ... ...
달려라! 녹색 자전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운동하기 때문에 달릴 때와 달리 무릎 관절에 부담을 주지도 않는다.자전거를 타면
하늘
이 맑아져요자전거는 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화석연료를 쓰지 않아 매연과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교통수단이다. 환경 전문가들은 대기오염 걱정이 없고 탄소배출량이 적은‘ 생태도시 ’가 되려면 전체 ... ...
수학을 알면 음악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에 화음반주를 달자.이 노래는 C장조니까 물론 G–C–F가 주로 이용돼야 한다. 처음 ‘
하늘
이 열리’ 부분은 계명이 ‘미미미 미솔’이니까 C가 돼야 한다. 하지만 다음에 나오는 ‘고’ 부분이 문제다. 계명으로는 ‘솔’인데 솔은 더욱 확장된 화음 고리구조에서 무려 세 가지나 선택의 여지가 있다.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지구의 공전에 따라 매일 4분씩 빨라집니다. 이 때 탑과 같은 건물을 설치해 놓고 밤
하늘
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가 같은 시각에 같은 장소에서 떠오르기까지의 날 수를 세면 일 년이 며칠인지 알 수 있습니다.물론 일 년의 길이를 측정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이는 천체는 해입니다. 직공들이 해를 ... ...
민물고기 별별랭킹 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갯벌을 기고 말뚝이나 바위를 기어오른답니다.강준치수면 가까이에 사는 강준치는 입이
하늘
을 향하고 있어요. 수면으로 떨어지는 육상 곤충을 잘 먹기 위해서죠. 독특한 사연이 있는 민물고기는 누구?민물고기 중에는 나름대로 사연을 가진 민물고기도 많아요. 먹지도 자지도 않으면서 알을 ... ...
도전!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일기도 앞에서 예보를 하는 것처럼 보인단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슈퍼맨이
하늘
을 나는 장면도 만들 수 있고, 우리처럼 터널을 지나는 장면도 찍을 수 있어.나만의 애니메이션 만들기!드디어 우리만의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시간! ‘어린이과학동아’에 있는 모든 만화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고 ... ...
1. 신기한 논리의 세계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선덕여왕’에는 미실 새주가 비담과 불꽃튀는 머리싸움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하늘
과 소통하는 능력을 가졌다는 비담에게 미실 새주는 “네 놈은 언제 죽게 될 것 같으냐?”고 묻는다. 만약 오늘 죽는다고 하면 내일 죽일 것이고, 내일 이후라면 당장 죽이려는 심보였다. 이 때 비담은 “소인의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수 없다는 뜻이다. 그래서 NASA의 과학자들은 라디오파로 파악할 수 있는 인공구름을
하늘
에 만들었다. 인공구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야광운을 알아보려는 계획이다. 과학자들은 인공구름에 대한 레이더 자료와 실제 야광운에 대한 레이더 자료를 비교해 야광운 형성에 대한 단서를 잡을 수 있을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