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윈을 따라 제2의 닻 올리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현지 시간) 멕시코 서부 작은 도시 마사틀란의 한 요트 정박장. 구름 한 점 없는 코발트색
하늘
이 수평선 너머까지 끝없이 이어졌다. 쏟아지는 멕시코의 가을 햇살을 손으로 가리며 권영인 박사(자원탐사전문가)가 휴대전화를 꺼내들었다.“앞으로 두 시간 뒤면 출항합니다. 4~5주간은 연락이 전혀 안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세계관은
하늘
과 땅과 사람이 연결돼 있다는 것이다. 한의학 역시 인체의 구조와 기능이
하늘
과 땅을 본받아 이뤄졌다는 천인상응이론(天人相應理論)을 따른다. 또한 인체를 소우주로 보기 때문에 우주 운행원리인 음양을 중심으로 한 음양오행설을 핵심원리로 삼는다. 한의학의 자연관과 인체의 ... ...
수학을 알면 음악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에 화음반주를 달자.이 노래는 C장조니까 물론 G–C–F가 주로 이용돼야 한다. 처음 ‘
하늘
이 열리’ 부분은 계명이 ‘미미미 미솔’이니까 C가 돼야 한다. 하지만 다음에 나오는 ‘고’ 부분이 문제다. 계명으로는 ‘솔’인데 솔은 더욱 확장된 화음 고리구조에서 무려 세 가지나 선택의 여지가 있다.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지구의 공전에 따라 매일 4분씩 빨라집니다. 이 때 탑과 같은 건물을 설치해 놓고 밤
하늘
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가 같은 시각에 같은 장소에서 떠오르기까지의 날 수를 세면 일 년이 며칠인지 알 수 있습니다.물론 일 년의 길이를 측정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이는 천체는 해입니다. 직공들이 해를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아래로 바뀌어 건물사이에서 소용돌이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지상에서 생긴 오염물질이
하늘
로 퍼지지 않고 건물 사이에 쌓인다. 도시를 돌아다니며 찬찬히 살펴보니 내가 왜 도시에서 빠져 나가지 못했는지 알 것 같아. 건물이 빽빽하게 들어선 도시에는 바람이 움직일 수 있는 통로가 만들어져 ... ...
[허풍의 퍼을 세계일주] 뉴욕시에 영웅 탄생!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대통령인 율리시스 심프슨 그랜트를 기념해 공원 이름이 붙여졌지.” “앗! 저기 물이
하늘
로 솟아올랐어요. 선생님, 보셨어요? 방금 폭포가 땅에서 솟아올랐다고요.”도형은 믿어지지 않는지 눈을 비벼 가며 다시 한번 살펴본다. 허풍도 그 광경을 보고 놀랐지만 로이드에게 무시당하기 싫어 ... ...
바다를 달리는
하늘
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육지와 바다 그리고
하늘
을 연결하는 길이 열렸다. 지난 10월 16일 개통한 인천대교는 인천국제공항과 영종
하늘
도시, 송도국제도시를 연결한다. 인천대교는 바다 위를 달리 ... 거가대교는 내년 12월, 목포대교는 2011년 개통할 예정이다. 전국 곳곳에 바다를 달리는
하늘
길이 열리고 있다 ... ...
1. 신기한 논리의 세계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선덕여왕’에는 미실 새주가 비담과 불꽃튀는 머리싸움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하늘
과 소통하는 능력을 가졌다는 비담에게 미실 새주는 “네 놈은 언제 죽게 될 것 같으냐?”고 묻는다. 만약 오늘 죽는다고 하면 내일 죽일 것이고, 내일 이후라면 당장 죽이려는 심보였다. 이 때 비담은 “소인의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수 없다는 뜻이다. 그래서 NASA의 과학자들은 라디오파로 파악할 수 있는 인공구름을
하늘
에 만들었다. 인공구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야광운을 알아보려는 계획이다. 과학자들은 인공구름에 대한 레이더 자료와 실제 야광운에 대한 레이더 자료를 비교해 야광운 형성에 대한 단서를 잡을 수 있을 ... ...
어린왕자가 다녀간 대청도 '모래사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하늘
아래 펼쳐진 넓은 모래벌판, 바람이 불면 바람결 따라 언덕이 생겼다가 없어지기를 반복하는 곳. 모래 도화지 위에 손으로 글씨를 쓰면 오래지 않아 모래바람에 뒤섞여 사라지는 곳. 아라비아에만 있을 것 같은‘모래사막’이 한국에도 있다. 백령도 남쪽 대청도에 있는 옥죽동사구다. 인천에서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