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울과 몽상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새를 관찰한 결과 모든 새는
하늘
을 날 수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닭처럼
하늘
을 날지 못하는 새가 있으므로 그 결론은 거짓입니다. 이처럼 귀납법에서는 예외가 발견될 확률이 있습니다. 따라서 개별적인 사실의 수가 많아질수록 결론이 참일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죠.귀납법은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가까운 장래에 실현될 가능성이 있다. 고작 100년이 조금 넘은 과거로 되돌아간다면
하늘
을 나는 것조차도 그저 상상 속의 일이었을 뿐이니까 말이다. 100년 뒤쯤이면 혹시 장거리 우주여행이 현실이 될지 누가 알겠는가.우주를 여행하는 다양한 아이디어 핵분열 로켓 원자폭탄과 원자력 발전에서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찍은 사 진. 이동하는 물체 주위로 투명한 수증기막이 생겨 물과의 마찰력을 줄여 준다.
하늘
위, 소리보다 빠르게!자, 이제 본격적인 초음속 세계로 들어가 볼까요? 여기에서는 소리보다 빠른 속도로 목적지에 도달하는 신기한 경험을 할 수 있어요.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는 보통 한 시간에 10 ... ...
구름을 타고 날아라~! - 서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했어요. 작은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는 구름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하늘
에 떠 있을 수 있는 까닭은, 구름 속의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가 아주 가벼워 위로 움직이기 때문이에요.구름을 이루고 있는 물방울이나 얼음덩어리는 아주 작아요. 질량도 백만 개 정도가 모여야 겨우 1g을 ... ...
캐나다 옐로나이프의 오로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신화에서 제우스는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의 슬픔을 달래기 위해 그의 연인 오리온을
하늘
에 띄워 별자리로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오리온과 아르테미스는 몹시 사랑했는데, 이를 반대한 오빠 아폴론의 계략에 빠진 아르테미스가 오리온을 화살로 쏴 죽였다고 한다. 오로라 동영상 ... ...
곤충계 싸움의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몸에 긴 주둥이를 꽂고 체액을 쭉쭉 빨아 먹는다.곤충인 게아재비는 날개가 있어
하늘
을 날거나 수면에 떠 있는 물풀 위를 걷는다. 다리가 길고 가늘어 헤엄치기가 쉽지 않지만, 대개 작은 물고기나 올챙이, 장구벌레처럼 물속에 살고 있는 동물을 먹이로 삼는다. 물풀에 숨어 있다가 먹이가 다가오면 ... ...
미래형 산타클로스 썰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독자들을 위해 기자님을 찾아왔어요.와우! 산타클로스가 탈 미래형 썰매요? 그럼
하늘
도 휙휙~ 날아다니나요?하하~. 천천히 설명해 드릴게요. 이 미래형 썰매에는 벌집 모양의 티타늄 합금이 쓰일 거예요. 티타늄 합금은 항공기 부품으로 쓰일 만큼 공기저항에 강한 튼튼한 소재예요. 밤새 전 세계를 ... ...
금메달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눈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코스가 녹지 않게 해주기 때문이다. 눈의 설질(雪質)도 경기력에 영향을 미친다.
하늘
에서 방금 막 내린 눈(파우더)은 스노보더들이 가장 선호한다. 작은 눈송이로 이뤄져 부드럽고 넘어져도 푹신하기 때문이다. 반면 태양빛에 잠시 녹았다 다시 얼면서 생긴 크러스트(설각)는 눈 표면이 살짝 얼어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상상조차 못했을 만한 동물에 대한 수수께끼가 있다. 목도 길고 다리도 긴 기린은 머리를
하늘
로 들었다가 땅으로 내릴 때 피가 머리에 쏠려 어지럽지 않을까. 고래의 나이는 귀에 들어 있는 귀지를 보면 알 수 있다는데, 사실일까. 천적이 보기에 빈 방처럼 보이도록 속임수를 써서 집을 짓는 새도 ... ...
What is Aurora?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오로라 보리알리스는 또한 북극광이라 불리우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오로라가 북반구의
하늘
에서만 관측되기 때문이며, 북자극에 가까이 갈수록 더 잘 보이기 때문이다(현재 지구의 북자극은 캐나다 북쪽에 위치한 북극해의 한 섬이다).북극점에서 보이는 오로라는 머리 위에 높게 떠 있다. 그러나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