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지 얼마 되지 않아 미로에 들어온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협곡 위로 보이는 청명한
하늘
과 협곡 아래 숨어 있는 물웅덩이가 묘한 대비를 이룬다. 호주 원주민의 영토인 이곳은 곳곳에 암각화가 그려져 있다. 운이 좋으면 캥거루과(科) 유대류인 왈라비를 만나기도 한다. 벙글벙글에서 그리 멀지 ... ...
1400년 전 신라의 밤
하늘
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위치에 이르렀으므로, 지금의 밤
하늘
을 서쪽으로 19.1°를 돌려주면 신라시대의 밤
하늘
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해 신라시대 633년의 춘분날(양력 3월 21일 근처) 밤 8시 2분에 해가 진 직후 자오선 상에 빛나는 별(혼중성)은 ‘바다뱀자리 θ(전통 별자리에서는 류(柳)자리 8번별)’였다는 것을 확인했다. ... ...
외유내강 검정파리와 외강내유 전갈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움직이지도 않기 때문에 마치 죽은 듯이 보이지만, 느릿느릿 기어 다니는 구더기를 ‘
하늘
구더기는 알에서 깨어나자마자 썩은 고기를 먹고 자라다가 이틀 정도가 지나면 번데기로 변한다. 번데기가 되면 구더기의 몸은 ‘성충판’이라는 미분화된 세포조직을 제외한 전체가 액체로 변한다. 이때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가을 겨울. 1년을 주기로 사계절이 순환한다. 휘영청 뜬 보름달도 한 달이 지나야 다시 밤
하늘
을 밝힌다. 그러나 가장 두드러진 주변 환경의 주기성은 하루 24시간의 변화일 것이다. 지구의 자전으로 만들어지는 밤과 낮의 순환에 모든 생명체들은 나름대로 적응해 살고 있다. 밤이 되면 졸리고 아침에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6개월 동안 직접 개발에 참여했다. 인터넷천문대는 미국 우주망원경연구소의 디지털
하늘
탐사(digitized sky survey)가 제공하는,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우주사진을 보여준다. 한편 천문노트 공동운영자인 이형철 씨는 “실제 천체 관측은 대기상태나 지형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며 “스마트폰을 ... ...
남극에 뜬 붉은 렌즈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기상사진전의 최우수상은 남극에서 렌즈구름 생성 장면을 포착한 양필호 씨의 ‘
하늘
의 전령사’가 선정됐다. 기상전문가와 사진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은 “렌즈구름처럼 찍기 힘든 현상을 남극에서 촬영했다는 점에 높은 점수를 줬다”고 최우수상의 선정 이유를 밝혔다.이번 사진전에서는 ... ...
알록달록 전통매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소리조차 들리지 않는 어느 고요한 오후였어.
하늘
은 살짝 흐렸고, 피부에 얼음을 댄 것처럼 추운 날이었지. 따뜻한 코코아 한 잔이 생각날 때쯤 우리는 이 곳을 찾았어. 여긴 도시 한가운데에 있는 기와집. 대문 하나만 지났을 뿐인데 마치 조선시대에 들어온 것만 같았어. 이쪽 방문을 한번 열어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는 천왕성, 해왕성은 눈으로는 볼 수 없고 망원경을 이용해야 한다. 그런데 그 넓은
하늘
에서 과연 어디에 있는 줄 알고 망원경을 들이대야 할까?여기서 수학이 활약한다. 18세기에 윌리엄 허셜이 망원경으로 천왕성을 발견하고 수십 년이 지난 뒤 천왕성의 실제 궤도가 계산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2010년 어린이과학동아가 더욱 기대되네요. 명예기자들이 재능의 날개를 활짝 펴고 훨훨
하늘
을 날 것만 같아요.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친구들은 내년에 명예기자로 만날 수 있겠죠? 기대할게용~ ... ...
무한을 향한 도전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수학자인 부르노는 우주가 무한하게 퍼져 있고 태양은 그 중 하나의 항성이며 밤
하늘
에 떠오르는 별들도 모두 태양과 같은 종류의 항성이라는 우주 무한론을 주장했다. 당시 우주의 중심은 지구라고 믿었기에 부르노는 공개적으로 화형을 당했다. 그 뒤 뉴턴의 법칙과 관측기술이 발달하면서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