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늘"(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말했다. 과거 인간의 상상력과 과학기술의 관계는 우주여행, 우주식민지, 심해도시, 하늘을 나는 자동차, 로봇, 외계인 등 쥘 베른 식의 거시적인 상상력을 먼저 보여준 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 뒤따르는 형태로 진행됐다.하지만 지금 인류는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것을 보고 실현하는 데 ...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지난해 12월 호주 매쿼리대의 박사과정에 있는 두안 해머처는 호주 원주민의 전설 중에 하늘에서 별이 떨어졌다는 이야기를 듣고 혹시 이 증거가 남아 있지 않을지 궁금해졌다. 그는 구글지도로 핀케 국립공원을 둘러보던 중 둥그스름하게 홈이 파 있는 지형을 발견했다. 현장을 방문한 결과 이 ... ...
- 원리와 구조 알면 발명 아이디어 떠올라과학동아 l2010년 03호
- | 강주헌 옮김 | 예담 | 374쪽 | 8만 원바다에서 미생물 상태로 시작해 지금은 바다와 육지, 하늘을 채우는 다양한 생물들은 어떻게 진화했을까.이 책은 최초의 단세포 생물에서부터 삼엽충과 암모나이트, 중생기의 공룡, 수백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살았지만 멸종된 인류의 조상 ... ...
- 거대한 소용돌이가 전하는 공포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몸부림치면서 빙글빙글 어지럽게 돌며, 나이아가라 폭포가 괴로움에 몸부림치며 하늘을 향해 올리는 소리도 미치지 못할 정도의 비명과 성난 포효가 뒤섞인 엄청난 소리를 바람에 실어 보냈다.- 에드거 앨런 포의 ‘큰 소용돌이 속에서’ 중‘큰 소용돌이 속에서’의 주인공인 ‘나’는 노르웨이 ... ...
- 만화를 그리는 물리학자, 이기진 교수님의 보물섬 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열기도 했답니다. 보물 2다양한 경험‘박치기 깍까’는 엄마에게 혼나고 가출한 깍까가 하늘로 박치기를 해 우주로 날아가면서 이야기가 시작돼요. 모험담은 다 제 경험에서 나왔어요. 사실 이사가 취미라 1~2년에 한 번씩 집을 옮겨요. 새로운 동네와 환경을 모험하는 재미가 쏠쏠하거든요.지금 ... ...
- [새학기 특별 보너스] 새학기 증후군? 문제 없어!수학동아 l2010년 03호
- 극복해야 할지 한국아동상담센터의 이영민 선생님의 조언을 듣고 새학기 불안을 저 하늘 멀리 날려 버리자~! 새 친구를 못 사귈까 봐 불안해요~익숙한 친구와 헤어지고 새로운 친구를 사귀어야 할 때 마음이 불안한 건 당연해요. 옛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클 수도 있지요. 그렇다고 해서 빨리 새 ... ...
- 아바타 열풍! 지금은 3D 시대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컴퓨터 그래픽으로 작업해요.③질감과 조명을 더해 그림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요. 하늘과 움직이는 구름, 꽃과 사람이 모두 살아 있는 듯 흔들거리네요.아바타의 기술은 '이모션(Emotion) 캡쳐'3D 영화가 기존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바타가 인기몰이를 한 이유는 기존 3D와 다른 기술에 있어요. 기존 ... ...
- 지구의 붉은 눈물수학동아 l2010년 03호
- 1000년 전 백두산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화산활동이 일어났다. 당시 화산분출물은 하늘 높이 25km까지 올라갔으며 일본까지 날아가 일본 동북부에 5cm가 넘는 높이의 화산재 지층을 남겼다. 1215년의 폭발로 산꼭대기가 날아가고 남은 구멍에 물이 고여 호수로 바뀐 것이 현재의 천지다. 위대한 예측199 ... ...
- 숫자로 풀어 보는 바둑의 원리수학동아 l2010년 03호
- 9단프로 바둑기사가 아무리 잘 해도 9단이 끝이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동양에서 하늘을 9개로 나누는 ‘9천사상’ 때문이다. 워낙 9라는 숫자를 받들다 보니 봉우리가 많은 산은 죄다 ‘9봉산’이라고 이름을 지어 우리나라에 9봉산이 몇 개나 있는지 모른다. 이처럼 ‘9단’은 위대한 것이다 ...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0년 03호
- 현실에선 불구의 몸이지만 자신의 뇌와 접속해 있는 아바타를 통해 마음껏 달리고 뛰고 하늘을 날아다닌다. 제이크와 아바타를 잇는 ‘링크(아바타와 접속 장치)’는 첨단 신경과학과 뇌과학의 현재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뇌와 컴퓨터를 이어주는 일종의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BCI)’이다. 실제로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