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네마 키드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이용하죠. 쌤: 영화도 애니메이션처럼 잔상효과를 이용하는 점은 같아요. 다만 영화는 그림이 아니라 연속된 사진을 사용해움직임을 나타내려고 한 것이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죠. 과동이: 쌤, 영화를 볼 수 있는 장치를 에디슨이 발명했다고 해요. 그런데 왜 뤼미에르 형제를 영화의 아버지라고 ... ...
- [11월] 과동 데스크의 썰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완성된 잡지를 보는 순간 아쉬움이 더 많이 남는다. 조금 더 내용을 보완해 볼 걸… 이 그림의 완성도가 떨어지네… 등 아쉬움이 남기 일쑤다. 하지만 올해 ‘Do!’에서 끊임없이 얘기해 온 대로 독자들의 궁금증을 ‘재미있게’ 풀어주는 기사를 써보자는 의욕은 변함이 없다. 정확한 내용으로 읽는 ... ...
- 유클리드와 사랑에 빠진 실험 수학자, 조지 하트수학동아 l2012년 10호
- 딸의 직업은 자칭 레크레이션 수학자예요. 수학적인 내용을 여러 소품을 활용하거나 그림으로 그려 재미있게 소개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제작하기 때문이래요. 실제로 달팽이에 수학적 성질이 있다면 달팽이를 그려 설명합니다.”그녀는 사실 대학에서 음악을 공부했다. 수석으로 졸업할 만큼 ... ...
- 수학동아 VS 지베안 드가 진짜 캠핑의 달인은 누구?수학동아 l2012년 10호
- ‘두 매듭에 대해 중간을 자르지 않고 실뜨기 하듯 조금씩 움직인다’는 말은 오른쪽 그림처럼 라이데메이스터 변형 1, 2, 3에 의해 변형할 수 있다는 의미다. 독일의 수학자 라이데메이스터는 두 매듭이 같다면, 라이데메이스터 변형에 의해 한 매듭으로부터 반드시 다른 매듭으로 변형할 수 있다는 ... ...
- 이탈리아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마당발 수, 17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업적을 새긴 것처럼 자신도 묘비에 정17각형을 넣어 주기를 원했다. 하지만 정17각형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원과 거의 구분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가우스의 묘비에는 점 17개를 연결한 별 모양을 새겨 넣었다고 전해진다.비록 그의 묘비에 정17각형은 없지만, 가우스의 고향에 세워진 그의 동상 받침대 ... ...
- 거울로 만든 요술 상자, 만화경 만들기수학동아 l2012년 10호
- ‘합동’이라고 한다.그런데 거울 밖의 모습과 거울 속의 모습이 정말 똑같을까? 아래 그림은 물체를 거울에 비추었을 때 보이는 모습이다. 거울 밖의 물건과 거울에 비친 물건의 상이 정말 같은지 유심히 관찰해 보자. 거울 밖에서 3시를 나타낸 시계가 거울상에서는 9시를, 거울 밖에서 오른손을 든 ... ...
- 한양대 수시 미래인재 전형 합격생 인터뷰 “진로고민은 중학교 때 시작하라”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때 구체적인 꿈을 정할 수 있었다. “사실 초등학교 때부터 미술에 관심이 많았어요. 그림대회에 나가서 입상하기도 했고요. 게다가 인문학 책 읽기도 좋아했어요. 특히 역사는 정말 좋아했죠. 공간적인 걸 다루고 차근차근 논리적으로 생각을 전개하는 수학도 좋았어요. 뭘 할지 정할 수가 없었어요. ...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여러 개의 식물화석을 발견했다. 대부분 석탄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말로만 듣고 그림으로만 보던 화석연료(석탄)를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졌다. 잠시 후 정을 망치로 내리치는데, 어? 드러낸 퇴적층 속에서 뭔가 가느다랗고 매끈한 막대가 보였다. 7500만 년 만에 공룡 화석이 빛을 봤다. 흥분되는 ... ...
- 확장한글의 꿈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것이다. 영어의 v 발음은 ㅂ과 ㅇ의 합으로 본다(이를 ㅂ의 연음이라 하자). 위에 있는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기본 10개의 자음에 대해 모두 격음, 경음, 연음과 이들의 혼합을 이용하면 확장 한글을 만들 수 있다.이렇게 한글을 확장해도 문제는 남는다. 같은 ‘ㄱ’ 음이지만 유성음으로 발음할 때가 ... ...
- 삼성이 특허전쟁에서 애플에 진 까닭은?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받을 것이다. 2010년 1월에 출원한 이 특허는 화면의 단어를 터치하면 자동으로 관련 그림이나 다른 설명이 나타나는 기술이다. 기술 자체가 아니라 정확히 사람을 향해 있는 기술이다. 미래의 특허 중심에는 인간이 있다는 것을 다시한번 보여준다.인간이 기술을 알아야 하는 시대가 가고 있다.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