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각하는 만화 그리는 빠나나 박사 이기진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따라 그리기가 아주 쉬워요. 해골도 복잡한 뼈대신 진주알이 엮인 것처럼 그렸죠. 단순한 그림처럼 스토리나 캐릭터 특징도 간단하게 만들어서 소소한 웃음을 주고 싶었어요. 언젠가 그 팬티가 해골과 빠나나 박사를 마법의 세계로 이끌지도 몰라요. 하하!만화로 물리를 공부할 수 있을까요?나의 ... ...
- 10화 세계를 바로잡는 첫 발, 다시 학교로!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찢어져라 크게 웃으며 뭔가를 꺼냈다. 어릿광대의 손에 들린 건 복잡한 그림이었다.“이 그림들이 입체가 되면 어떤 모양이 될까요?”문제 ❷ 드리클류의 집을 찾아라!폴b가 문제를 맞히자 어릿광대의 표정이 갑자기 침통하게 바뀌었다.“우리가 문제를 맞힌 게 그렇게 억울하냐?”폴의 호통에 ... ...
- 암흑물질 3파전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찬드라-X 망원경을 이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찍은 ‘총알 모양 은하단’. 모두 합성한 그림 (➊), 가시광선(➋), 가시광선과 중력렌즈(➌), 가시광선과 X선(➍), 중력렌즈와 X선(➎). ➏은 허블우주망원경 영상에 질량 밀도를 표시한 그림. 역시 두 개의 중력원이 나타난다.]유럽 입자물리연구소(CERN)가 ...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내가 만든 거북선은 탐정이 알고 있는 이 사진 속 거북선과 몇 가지 다른 점이 있소. 내가 그림으로 설명하리다!거북선의 머리는 총포를 쏘는 용머리다!거북선의 머리가 거북머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 머리는 거북머리가 아닌 용머리예요. 왜 유독 머리만 용의 ...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피카소부터 마임까지 융합수학이 떴다!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수학적 비밀이 숨어 있다. 피카소는 현대 수학 이론을 작품에 담기 위해 그림을 그리기 전부터 철저하게 계산해 그려 넣었다.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 이 같은 내용을 스페인 바스크지방대 수학과 하비에르 바라요 교수가 소개해 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게르니카는 피카소의 1937년 작으로, 1937년 ... ...
-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하라!수학동아 l2012년 09호
- 같이 카메라 한 대로 자동차의 순간속도만을 측정했다. 그러나 구간단속시스템은 그림➋와 같이 2대의 카메라로 단속한다. 첫 번째 카메라가 1차로 측정하고, 두 번째 카메라가 다시 2차 측정을 한다. 각각의 카메라로 잰 순간속도 외에도 두 카메라 사이의 거리와, 자동차가 구간을 이동하는 데 ... ...
- 고전문학이 꾸준히 사랑받는 이유수학동아 l2012년 09호
- 그린 것이다.수학에서는 이와 같이 점과 선을 이용해 복잡한 구조를 간단하게 나타낸 그림을 ‘그래프’라고 한다. 그래프를 구성하는 요소인 점은 ‘노드(Node)’, 그 점을 연결한 선분은 ‘엣지(Edge)’, 그리고 점에서 연결된 선분의 개수는 ‘차수(Degree)’라고 한다. 또 노드를 연결한 엣지의 전체 ... ...
- 이팔청춘의 숫자,16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수 있다.그런데 이와 같은 성질이 성립하는 것은 위의 4가지 경우만이 아니다. 다음 그림의 어두운 부분에 해당하는 4개 숫자의 합도 34가 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스스로 생각해 보며 답을 찾아보자. RGB 색을 품은 16RGB란 빛의 3원색인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세 종류의 광원을 혼합해 색을 ... ...
- [합체] 그리스 신화 속 염소는 괴물인가 아닌가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사람의 것이니까 괴물인가?“그런데 재밌는 게 있어. 이 그림을 봐.”수의사가 내놓은 그림에는 K와 아주 닮은 동물이 그려져 있었다. 염소인지 말인지 소인지 알 수 없었는데, K처럼 뒷다리밖에 없었다. 다른 건 다리 수였는데, 한 개였다. 그 다리로 용케 잘 서 있었다. 꼬리는 말총이고 수염이 ...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졸고 있던 나무와 가까운 곳에서 보아뱀을 만났다. 생텍쥐페리가 ‘어린왕자’에서 그림으로 보여준 것처럼 코끼리를 삼키지는 못하겠지만 여우원숭이를 삼키는 것은 일도 아닐 것이다. 실제로 낮에는 꾸벅꾸벅 졸고 있는 야행성 여우원숭이의 가장 위험한 천적은 바로 보아뱀이다. 우리가 만난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