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뜻"(으)로 총 5,8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공중의 ‘공(空)’은 구멍을 의미하는 ‘혈(穴)’과 소리를 나타내는 ‘장인 공(工)’이 더해진 글자예요. ‘공(工)’은 도구를 이용해 무언가를 만드는 모양을 ... 되었어요. 그리고 두 글자가 합쳐져 ‘만물을 포함하는 무한한 공간과 시간의 모든 것’을 뜻하는 ‘우주’가 되었답니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얼음 도둑 ‘ 아이스 몽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덕분에다시 빙수를 만들어 팔 수 있게 되었다며 기뻐했다.“썰렁홈즈님, 감사의 뜻으로 우리 가게 대표 빙수를 가져왔어요. 맛 좀 보세요~!”빙수가게 주인들은 감사의 의미로 썰렁홈즈에게 일주일 동안이나 빙수를 가져다 주었다. 결국….“꾸루룩~, 꾸루룩~! 뽕!”썰렁홈즈는 화장실을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글자 ‘칠 복(攵)’이 합쳐진 한자예요. ‘대적하다’, ‘적’, ‘겨루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답니다. 따라서 천적은 ‘운명적인 적수’를 나타낸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땅 지(地), 옷 의(衣), 무리 류(類)로 이뤄진 한자어로, ‘지구의 옷이 되는 무리’라는 뜻이에요. 흔히 ‘이끼’라고 잘못 알고 있는데 나무나 바위, 땅 등에 붙어사는 ‘균류와 조류의 공생체’라고 해서 무척 신기했어요. (장연수, 군포 궁내초 4) Q 가장 인상 깊었던 탐사는 무엇인가요?곤충 탐사가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기체는 ‘기운 기(氣)’와 ‘몸 체(體)’가 합쳐진 말이에요. ‘기운 기(氣)’는 아지랑이나 안개처럼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물질이 옆으로 깔려 있는 모습(气)에 ‘쌀 미(米 ... 따라서 ‘손으로 여러 개의 물체를 헤아리는 일’이라는 의미로 ‘횟수’나 ‘정도’와 같은 뜻을 지닌답니다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시시때때로 변하는 달의 모습을 ‘위상(位相)’이라고 해요. 위상은 한 사물이 다른 사물과 관계를 맺을 때 갖는 위치, 상태를 말하지요. 달의 위상 변화는 달의 위치가 변하면 ... 의미도 담겨 있지요. 이 글자가 일정한 기간마다 도는 달과 합쳐져 ‘때를 기다린다’는 뜻을 갖게 됐어요 ... ...
- 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이동할 수 있을 거라고 예상하고 있어요. 이건 알파 센타우리까지 20년 만에 갈 수 있다는 뜻이에요. 최근 연구팀은 20년 안에 1000대의 우주 돛단배를 알파 센타우리까지 날리겠다고 밝혔어요. 이 우주선에 초소형 카메라를 달아서 알파 센타우리 항성계에 있는 행성들의 사진을 찍을 계획이랍니다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4괘는 물, 불, 땅, 하늘을 상징합니다. 태극기는 우주와 함께 우리 민족의 창조와 번영을 뜻하지요. 이런 태극기에도 수학적인 비밀이 숨어 있습니다. 그림을 보고 일곱 번째 미션을 해결해 보세요!여덟 번째 미션, 이상화 시 속으로이상화 시인(1901~1945)은 일제의 칼날에 맞선 저항 시인이자 나라 잃은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하지 않고 비탄성 거동을 보이기 때문이다. 즉 암반을 진동시키지 않고 파괴한다는 뜻이다.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역시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백두산 아래 마그마 방에 압력밥솥 내부와 유사한 120kPa의 압력이 가해져 화산이 폭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사이언티픽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등방하다’는 것은 지구 위에서 관측할 때 우주의 방향성을 구별할 수 없다는 뜻이다. 처음 우주 등방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건 1920년대 즈음이다. 현대의 우주론이 자리를 잡아가던 시기다. 시작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었다.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으로 시간과 공간 격자가 변하지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