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중증마비 환자도 아닌데 컴퓨터 게임이나 무의식 설문조사를 위해 자신의 두개골을
열
사람은 없다. 이들에게는 뇌파를 이용해 생각을 읽는 기술이 훨씬 효과적이다.실제로 미국의 뉴로포커스사는 고객이 상품을 접했을 때 무의식 중 어떤 생각을 하는지 뇌파를 읽어내는 기술을 개발해 매출 3000억 ... ...
뇌신경 지도를 그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특정한 뇌 영역이 아니라 뇌 신경회로망의 이상으로 이해하게 된 것은 자폐증, 정신분
열
증, 파킨슨씨병과 같은 뇌질환의 원인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했다. 신경외과에서도 뇌의 특정 부위를 잘라내는 대신 신경섬유 다발을 끊어주는 수술 기법이 발전하고 있다. 먼 미래에는 우리 뇌의 ... ...
- 여수엑스포 빅오의 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차가운 밤바다를 잠시나마 따뜻하게 만들어준다. 50m 넘게 떨어진 관람석에서도 따뜻한
열
기를 느낄 수 있다. 조병휘 빅오사업단 콘텐츠 과장은 “균일한 수막을 만들고, 물이 뿌려진 상황에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것 같이 다양한 난제를 해결하려고 3년 동안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고 말했다 ... ...
유리의 무한변신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형상화했다. 붉은 유리 선 하나를 중심으로 마치 가지가 뻗어나가듯 유리 선 중간 중간
열
을 가한 뒤 녹은 유리를 잡아 늘려 서로 잇는 방식으로 만들었다.][▲푸른 눈동자 | 홍진선 - 푸른 유리로 눈동자를 만든 뒤 그 위에 투명 유리를 겹겹이 덧대었다. 수십 개의 눈동자가 마치 우리를 감시하는 ... ...
살 빼주는 단백질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BMP8B)을 발견했다. BMP8B의 활성도만 높여도 더 많은 지방을 태울 수 있다. 갈색지방은
열
을 내 지방을 분해한다.연구팀이 BMP8B를 쥐에게 주사한 결과, 뇌에서 갈색지방의 활동성과 관련된 신경활동이 활발해졌다. 또 단백질이 갈색지방의 활동을 촉진시켜 더 많은 지방을 태웠고 이는 실제 체중감소로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500억 개로 줄였다. 일종의 묽은 양자 기체가 만들어진 셈이다. 이 과정에서 증발냉각과 단
열
팽창이 일어나 온도가 낮아져 거의 절대온도에 가까운 온도를 얻을 수 있었다.연구팀은 이렇게 만들어진 묽고 극저온 상태인 기체가 원자광학과 도량형, 분광학 등에 중요하게 이용될 거라고 설명했다.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개의 개체로 나뉘는 식으로 기하급수적으로 개체 수를 늘린다. 이 민물지렁이가 이렇게
열
정적으로 개체수를 늘리는 까닭은 잠자리 유충 등 포식자로부터 잡아먹히는 속도보다 개체수를 더 빨리 늘리기 위해서다.과학사 속에서 새로운 개념의 등장은 꼭 실험실에서만 이뤄지지 않았다. 갈릴레오 ... ...
“다이내믹한 활동으로
열
정을 드러내”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활동을 직접 보여줄 수 있는 자료를 제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론 활동량만 많다고
열
정을 보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질도 중요하다. 원하는 대학이나 진로에 관련있는 활동을 해야 한다.UNIST로 가는 길은지 양은 다면면접을 받을 때 시계를 두 개 차고 있었다. 하나가 고장나서 새로 시계를 ... ...
말은 원래 고양이처럼 작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날씨가 추워지면 몸이 점점 커지고, 더워지면 몸이 점점 작아져요. 추운 곳에서는 몸에
열
을 더 많이 보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하기 때문이에요. 이렇게 기후변화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동물은 포유류 전체에서 3분의 2나 된답니다. 즉 지구가 따뜻했던 시기를 지나 점점 추워지면서 말이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중인 ‘중심 점화’ 방식은 연료 캡슐을 고에너지 레이저로 온 방향에서 균일하게 가
열
해 점화시키는 방식이다.타박 박사가 제안한 ‘고속 점화’ 방식은 연료캡슐에 금으로 만든 깔때기를 꽂았다. 기존 방식처럼 나노초의 고에너지 레이저를 발사하는 동시에 추가로 펨토초 레이저를 금 깔때기에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