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수학으로 드림하이~! 꽃미남밴드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아름다운 음을 내려면 기본음과 배음들의 정수비가 매우 중요하다. 2단계 화음의
열
쇠는 공배수!앞에서 소음과 아름다운 음을 구분하는 것이 정수비의 배음에 있다는 것을 살펴봤다면, 이번에는 서로 다른 음들이 어떻게 아름다운 화음을 이루는지 살펴보자.화음을 이루는 것은 기본음의 공배수에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됐다고 한다. 또 오줌이 날아가는 거리가 25%나 늘었다고 적었다. 1889년 6월 그는 파리에서
열
린 생물학회에 실험 결과를 보고했다. 그 뒤 개와 기니피그의 고환을 갈아 만든 추출물은 큰 인기를 얻었다. 하지만 장수는 커녕 패혈증을 보이는 환자가 속출했다. 에두아르 역시 시간이 지날수록 초기에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태양의 중력장에서 붕괴되지 않은 것은 대단히 흥미로운 일이었다. 또 태양으로부터
열
을 받은 뒤에도 혜성에 얼음이 남아 있다는 사실에도 눈길이 갔다. 필자와 같은 태양계 연구자들은 혜성 탐사를 통해 표면의 모습을 상세히 관찰하고 특성을 깊이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SDO가 관측한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옮기고 그런 거 안 해요. 지금까지 말했잖아요? 내가 뭘 ‘믿는지’.”청년은 문을
열
고 나가며 문득 생각난 얼굴로 뒤를 돌아보았다.“그런데요, 우리 의견이 갈라진 건 우리 경험이 다르기 때문이죠. 내가 이건 믿음의 문제라고 했던 것 기억나요?”청년은 두려움도 애정도 미움도 연민도, 그 어떤 ... ...
Part3. 별 걸 다 맡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패드를 끼우거나 입에 물게 한 뒤 냉동 보관한다. 온갖 체취로 가득 찬 냉장고는
열
때마다 어지러울 정도로 지독한 냄새가 난다.그는 이 체취들을 분석해 사람마다 지닌 고유한 냄새를 분리하고 있다. 성공한다면 지문이나 홍채보다 훨씬 정확한 신원확인 보안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또 냄새의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주축이 돼 나트륨(소듐)을 쓰는 또다른 고속로인 ‘소듐냉각고속로’를 연구하고 있다.
열
중성자를 이용하는 차세대 원전으로는 ‘고온가스로’가 있다(46쪽 그림 참조). 황 교수로서는 가압 수형 원전은 물론, 고속로 연구의 세계적 주류인 소듐냉각로와도 경쟁할 좋은 기회를 놓친 셈이다. 연구 ... ...
나는 왜 빛이 있는지 알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딱’ 하는 소리에너지로 전환되거나, 땅과 부딪힌 부분이 약간 뜨겁게 되면서
열
에너지로 전환되는 비유가 좋을 것이다. 물론 연필의 경우엔 그 에너지가 너무 작아서 감지하기 어렵지만.이렇게 계산한 중력에너지를 현재 태양이 매년 뿜어내고 있는 에너지로 나누면 총 몇 년 동안 태양이 이런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 상자는 동물이 안에서 고리를 당기거나 페달을 밟는 것처럼 특정 행동을 하면 문이
열
리게 설계돼 있다. 고양이는 처음에는 상자 안에서 긁거나 할퀴고 물어뜯는 등 여러 가지 행동을 한다. 그러던 중 우연히 페달을 밟거나 고리를 당겨 상자의 문을 연다.그리고 배불리 먹이를 먹는다. 횟수를 ... ...
휴대전화 발
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휴대전화는 왜 더 작아지지 못할까. 여러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열
때문이다. 휴대전화에서 나는
열
을 잘 배출하지 못하면
열
에 약한 전자부품이 망가지기 ... 받았다. 각기 다른 두 종류의 알코올로 나노구조물을 적셨다가 증발시키는 기작을 통해
열
전도성을 높일 수도, 낮출 수도 있었다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가시광선이 사라졌던 암흑시대(dark age)와 별의 핵융합 반응과 폭발로 우주가 다시 가
열
돼 원소가 이온으로 되는 재이온화 영역에 대한 실마리를 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최초의 별과 최초의 은하를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올해 6월 러시아에서 위성 발사유포 프로젝트는 시리즈로 진행된다.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