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d라이브러리
"
전기
"(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정전이 되는 큰 피해가 발생했다. 미국과 유럽, 중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도 폭설로
전기
가 끊기고 도로가 마비돼 천문학적인 규모의 재산피해가 생겼다. 우리나라도 강원도 동해시에 1m가 넘는 눈이 쌓이고 동해안을 중심으로 폭설이 쏟아졌다. 꽁꽁 얼어붙은 도로 제설제로 ... ...
[현장취재]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개그 더하기 수학은?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시작했다.“2진수를 이용해 사진을 전송하는 방법은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지만,
전기
신호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자기장 등에 의해 신호가 왜곡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널리 쓰이지 못했지요. 하지만 ‘부호이론’이라는 수학 이론이 등장하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죠.”부호이론은 미국 ... ...
카알과 주울의 엉뚱기발한 에너지 어드벤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저녁마다출퇴근하는 사람들에게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 바로 몸에서나오는 체온을 모아
전기
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한 사람이 배출하는 에너지는 약 100W. 여러 사람의 체온을 지하터널을 통해 열수집기에 모았다가 주변에 있는 아파트에 난방으로 공급하고 있다.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는 지하철 ... ...
3D 전자블록 딱킷으로 통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주파수를 잡는 회로를 어떻게 만들지…. 으앙~! 너무 어려울 것 같아요.딱킷과 함께라면
전기
회로가 어렵지 않다니까~! 여기 라디오의 기능을 미리 구현해 만든 ‘라디오 모듈’과 ‘증폭 모듈’ 을 이용하면 쉽단다.STEP▶3 미션 수행하기슬라이드 스위치의 위치를 옮겨보니 ‘치-지지-칙-지지지’ ... ...
크리스마스에 딱 맞는 과학선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생긴 것 덕분인가요?겨울에는 건조해지는데 이걸 보완해 주는 자연 가습기란다.
전기
없이도 습기를 공기 중에 내뿜어 습도를 적당하게 유지시켜 주지.우린 겨울에도 달린다!산타 할아버지. 너무 신나요. 우리 함께 달려요~!끼얏호~. 이야, 이거 재밌네. 비켜라~, 비켜!안 돼요! 여기선 제가 일등 ... ...
아빠! 우리 딱킷 하러 가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친구들은 현장에서 20% 할인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도 있단다.스위치가 작동하는 원리나
전기
가 흐르는 현상 등을 배우니 딱킷이 더 이상 어렵지 않아. 음냐음냐~. 앗, 지금까지 모두 꿈이었잖아? 딱킷 교실을 가기 전에 아빠를 찾으려면 내일부터 다시 괴도꼬마가 되어야 해 ... ...
쇠똥구리가 쇠똥을 굴리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더러운 오물을 모아 지구를 정복하려는 닥터그랜마예요. 쇠똥더미를 보면 사람들이 놀라 달아나겠죠? 히히. 앗, 그런데 저기 특이한 곤충이 있네요? 쇠똥을 구 ... 이용해 난방을 하거나 자동차를 움직여요. 우리나라에서도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똥으로
전기
를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답니다 ... ...
반짝반짝 통통! 빛나는 탱탱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1호
만들 탱탱볼은 그냥 탱탱볼이 아니라 빛나는 탱탱볼이야. 안에 LED가 들어있기 때문이지.
전기
가 흐르면 LED에 불이 들어온단다. 우와~. 정말 예쁠 것 같아요. 반짝반짝 빛나는 탱탱볼 어서 만들어 봐요~.STEP▶2 미션 주제 설정하기탱탱볼을 빛나게 하라! 오늘 실험은 손으로 조물조물 뭉쳐서 직접 ... ...
2030년
전기
로 달린다! 꼬마
전기
자동차 붕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0호
그럼 주인님,이제 헤어질 시간이에요. 진짜 2030년이 되면 다시 만나요. 안녕~!
전기
자동차는 또 다시 ‘펑~!’ 소리와 함께 사라졌어. 2030년이 되면꼭 다시 만날 수 있겠지 ... ...
안경 없이 보는 3차원 영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9호
두 개가 겹치지 않고 두 눈에 각각 다르게 보이도록 해 입체를 느낀답니다. 서울대학교
전기
컴퓨터공학부 이병호 교수팀은 스크린에 편광 스크린을 덧붙여 이미 화면에서부터 입체감이 느껴지는 원리를 생각해 냈어요. 이 편광 스크린은 검은 벽이 일정한 간격 으로 배열되어 있지요. 그래서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