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뉴스
"
흡수
"(으)로 총 1,94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판 퀴리 부인’ 찾아보니…
2014.10.17
전문 분야인 양자점을 연구하는 데 이 능력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 양자점은 크기에 따라
흡수
하는 빛의 파장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태양전지나 바이오 이미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양자점을 용액 형태에서 대량으로 합성하려면 표면을 이해하고 조절해 안정성과 효율을 높이는 ... ...
인류의 끝도, 영화의 끝도 USB?
2014.10.05
뜯어지는 일이 벌어진다. 태아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CPH4이 몸속으로 대량
흡수
되며 루시는 각성을 경험하게 된다. 미스터 장(최민식 분)은 마약(CPH4)을 가지고 도망친 루시(스칼렛 요한슨 분)를 있는 힘을 다해 쫓는다. - UPI KOREA 제공 진지한 얼굴로 시종일관 황당한 소리를 ... ...
[사이언스 브리핑]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0월 수상자 발표 외
2014.10.01
879건의 특허 데이터를 분석해, 인수 기업이 다양한 분야에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흡수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M&A를 지양해야 한다는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 김종만 교수 - 한국연구재단 제공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김종만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를 이달의 ... ...
해수면 상승 앞당기는 건 ‘그린랜드 빙하’
2014.09.29
사실 역시 알아냈다. 이렇게 흘러내려 빙하 표면의 물이 밑으로 이동해서 퇴적암층에
흡수
되면서 표면이 더 미끄러워지고, 결국 빙하 이동속도가 더 빨라졌다는 것이다. 영국 애버리스트위스대 폴 크리스토퍼센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그린란드 빙하층이 기후변화뿐 아니라 폭우나 열풍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이렇게 만들어진 탄소14는 대기중에서 산소와 반응해 이산화탄소가 되고 식물에
흡수
된다. 결국 살아있는 동식물은 대기중의 탄소14 비율을 갖고 있지만 사체가 된 뒤에는 대기와 더 이상 탄소교류를 하지 않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소14의 비율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탄소14의 비율을 ... ...
“전기 절약하느라 불편하셨어요? 이제 그러지 마세요.”
2014.09.17
그대도 밖으로 나가 버리는 반면, 가시광선을
흡수
한 흙에서 나오는 적외선은 비닐에
흡수
됐다가 다시 방출되며 일부가 온실에 갖히기 때문이다. 온실에 빗댄 지구온난화의 원리에 대한 설명을 들은 학생들은 고개를 주억거렸다. 이번 강연은 서울시 에너지시민협력반에서 추진하는 ... ...
물에 햇빛 쪼였을 뿐인데 수소가 펑펑
2014.09.16
이용해 물에서 수소를 분리할 수 있는 촉매인 금 나노입자에 주목했다. 가시광선을
흡수
한 금 나노입자는 ‘열전자’를 방출해 물에서 수소를 분리할 수 있다. 연구팀이 고에너지를 가진 자외선 대신 약한 가시광선을 이용한 것은 자외선보다 가시광선이 태양광에 풍부하게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 ...
“급속 충·방전이 배터리 수명 단축 시키는 것 아냐”
2014.09.15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배터리를 방전시키는 속도를 5배 이상 빠르게 했더니 이온을
흡수
하는 나노입자의 수가 많아져 배터리 손상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를 빠르게 방전시키면 수명이 짧아질 거라는 예상과 반대되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번 연구를 이끈 이양 리 스탠퍼드대 ... ...
그래핀으로 DNA 염기서열도 분석한다고?
2014.09.11
전자 빔을 쏘아 하나하나 구멍을 내야했다. 연구진은 금 나노입자가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
했을 때 열이 발생하는 ‘광열 전환’ 현상을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래핀에 금 나노입자를 뿌려놓은 뒤 빛을 쪼였더니 금 나노입자가 진동하면서 원형과 사각형, 반달모양 등 다양한 구멍이 ... ...
전자기판 투성이 태양전지에 엽록소가 쏘옥~
2014.08.25
“이번 성과는 엽록소를 비롯해 자연계에 풍부한 알칸닌, 베타레인 등의 다양한 광
흡수
체를 태양전지의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환경문제와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원천기술 개발과 태양전지 상용화에 큰 역할을 할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