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fmol·1 fmol은 10-15 mol), 피코몰(pmol·1pmol은 10-12 mol) 단위로 측정한다. 그 외에 혈액 속에 작은 단백질이 몇 개가 들어 있는지, 공기 중에 미세먼지 입자가 몇 개나 떠다니는지 수치를 매길 때도 몰 단위의 측정이 필수다. 이 책임연구원은 “아보가드로 상수로 새로운 표준이 정해진 만큼 앞으로 해야 할 ... ...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교수와 한국 조선 산업계를 대표하는 민계식 전(前)현대중공업 회장이다.1940년대 당시 작은 고깃배조차 스스로 설계할 능력이 없었던 한국에서 김재근 교수는 독학으로 선박 설계 기술을 익힌 뒤 미국 유학을 거쳐 한국 조선공학의 기반을 닦았다. 그의 연구팀은 1t(톤)급 어선에서부터 64t급에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누구일까요? 사실 그 답을 찾는 건 쉽지 않아요. 눈 색깔이 검거나 푸른 것, 키가 크거나 작은 것, 피부색이 어둡거나 밝은 것처럼, 생김새의 특징과 성질을 ‘형질’ 또는 ‘표현형’이라고 해요. 형질은 30억 쌍의 유전자 염기서열 조합과 외부 환경의 영향이 더해져 결정돼요. 그래서 76억 명이나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먹은 음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정 책임연구원은 “유해가 출토될 때 작은 동물의 치아나 뼈가 함께 출토되면 분석의 정확도가 높아진다”며 “가령 쥐가 지역을 이동해가며 살지는 않기 때문에 쥐의 동위원소 비와 유해의 동위원소 비를 비교해 값이 다르면 외지 사람으로 ... ...
- [Future] 줄었다 늘었다 자유자재, 이런 컵 슬리브는 처음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누르자 컵에 딱 맞는 크기로 줄어들었다. 이번에는 이 슬리브를 뜨거운 커피가 담긴 더 작은 컵에 끼웠다. 그러자 스르륵 크기가 줄더니 컵에 딱 맞는 상태가 됐다.이 연구원은 “열을 가하면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진 소재를 사용했기 때문”이라며 “힘을 가해 크기를 늘려도 손의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아주적은 염기서열의 변이에 의해 발생한다.살아있는 생명체는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은 세포에서부터 조직, 기관, 개체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시스템이다.그 안에서 다양한 원리와 원칙에 따라 일어나는 모든 과정은 알아갈수록 경이롭다 ... ...
- [에디터 노트] ‘서밋’으로의 초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개최하는 과학 대중강연 행사인 ‘사이언스 바캉스’는 과학의 서밋이다. 올해는 아주 작은 양자부터 무한한 우주까지 5개 분야에서 5명이 참석한다. 김상욱 경희대 교수(양자역학), 김재인 서울대 박사(인공지능), 김홍표 아주대 교수(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정재승 KAIST 교수(뇌공학), 황정아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기대합니다. 일반적으로 100×100μm2 이하의 초소형 LED를 마이크로 LED라고 부르는데, 작은 LED 소자 한 개가 디스플레이의 픽셀이 되면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 LED는 기존 디스플레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CD)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비해 밝기가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다.김 씨는 또 “입시를 위한 과정이라는 생각 때문에 작은 실패에도 낙담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많이 경험하면서 자신이 잘 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을 발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행성에 대해 전혀 모르던 때였어요. 하지만 조르다노 브루노는 지구가 태양 주변을 도는 작은 행성일 뿐이며, 무한히 넓은 우주엔 태양과 같은 별이 수없이 많다고 주장했지요. 이런 우주 무한론은 로마 교황청으로부터 이단 판정을 받았답니다. 하지만 그의 생각은 이후 학자들에게 큰 통찰을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