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쓰곤 하는데, 둘은 같은 거예요. 세균은 한자어, 박테리아는 영어지요. ‘박테리아’는 ‘작은 막대’라는 뜻의 그리스어 ‘bakteria’에서 유래되었어요. 처음 현미경을 통해 발견된 박테리아가 막대 모양이었기 때문이랍니다. 촉매는 ‘닿다’는 뜻의 ‘촉(觸)’과 ‘중매하다’를 의미하는 ‘매(媒 ... ...
- Part 2. 쓱싹~ 물로 미세먼지를 쓸어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인도 뉴델리에 거대한 크기의 물대포가 등장했어요. 이 물대포는 0.001~0.05mm 크기의 아주 작은 물방울을 높이 45m까지 분사할 수 있답니다. 또한 1분당 최대 100L의 물을 뿜어낼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지요. 이 물대포에서 발사한 물방울이 닿은 곳은 95%의 미세먼지가 제거됐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 ...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있었다고 설정하고 있다. 이 특이점은 에너지와 물질의 밀도가 무한대인 점으로, 이것이 작은 돌덩이 하나에 농축된 것이 인피니티 스톤이다. 즉 6개의 인피니티 스톤에는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담겨있다. 소울 스톤의 행방은?6개의 인피니티 스톤 중 소울 스톤은 아직 한 번도 영화에 등장하지 ... ...
- Part 2. 우리가 필수가 아니라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만들 때 생기는 원의 개수와 분포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규명했습니다. 프랙털은 작은 구조가 전체 구조와 비슷한 형태로 반복되는 기하학적 구조를 뜻합니다. 오희 교수의 연구는 눈송이처럼 자연에 있는 프랙털 구조의 기하학적 해석 연구에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이처럼 고대부터 내려오던 원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자율주행자동차 ‘웨이모’에 달려있는 라이다로 유명하다. 하지만 차량에 붙일 만큼 작은 연구용 라이다는 아직 5000만원대로 가격이 비싸다. 상용화된 차 중 라이다를 부착한 건 지난해 출시한 아우디 A8이 유일하다. A8은 145도 회전이 가능한 저가형 라이다를 이용해 운전자의 안전을 높였다 ...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핵연료를 만드는 원심분리기가 오작동을 일으킨 ‘스턱스넷 사건’이 발생하는 등 크고 작은 이슈가 등장하면서 제어 시스템의 보안 기술에 관심이 높아졌다. 현재 동형암호를 제어 보안에 적용하려는 연구는 한국, 일본, 호주, 미국 등 네 나라 연구진이 주도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연구그룹이 더 ... ...
- [실전! 반려동물] 햄토리와 햄찌는 왜 자꾸 싸우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지름 20cm의 쳇바퀴를, 이보다 큰 햄스터는 28cm 이상의 쳇바퀴를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작은 쳇바퀴를 사용하면 햄스터가 척추 관련 질병에 걸릴 수 있답니다. 어미가 새끼를 해쳐요!암컷과 수컷 햄스터를 한 우리에서 키우면 새끼가 태어나기도 해요. 이때 어미는 새끼가 눈을 뜨고 혼자 자립할 수 ... ...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뒤덮인 암반에는 바다 식물이 자랄 수 없어요. 식물이 없으니 그 식물을 먹고 사는 작은 생물과 물고기도 살 수 없습니다. 아주 넓은 사막처럼 숨을 곳도 없고 먹을 것도 없는 죽은 땅이 바로 갯녹음이 일어난 바다의 모습입니다. 특명! 바다를 구하라해양생물이 다시 모여 살게 하려면 해조류로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무승부로 끝나면 아무것도 적지 않고, 그게 아니면 이긴 사람의 기호(◦ 또는 ×)를 작은 틱택토 위에 크게 적습니다. 큰 틱택토에서 승부가 난 곳을 제외한 다른 틱택토의 빈칸에 ◦ 또는 ×를 표시해야 합니다. 결국 큰 틱택토에서 먼저 삼목을 만드는 사람이 최종 승자가 됩니다. 슈퍼 틱택토에서 ...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떼가 상승할 때마다 대규모의 하향 해류가 생성되는 모습을 확인했다. 다비리 교수는 “작은 해양생물들이 바다 전체에서 해류의 방향을 바꾸고, 더 나아가 해류를 혼합시켜 결국 해양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4월 18일자에 ... ...
이전178179180181182183184185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