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리로 만드는 3차원 영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영상을 만든 뒤, 색깔이 있는 필터를 써야 하지요. 제작비가 매우 비싼 것도 흠이에요. 1초 짜리 영상을 만드는 데 수천만 원이 든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와 브리검영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홀로그래피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생각해냈어요. 그것도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 ...
- [수학뉴스] 나비의 입에도 황금비율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연구팀은 나비가 주둥이를 어떻게 움직이는지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 1초에 1200장씩 찍는 초고속카메라로 촬영했답니다. 관찰 결과, 나비는 평소에 주둥이를 뱅글뱅글 나선형으로 감고 있다가 수액을 먹을 때는 쭉 펼쳤어요.연구팀은 나비가 어디에 있는 수액을 먹고사느냐에 따라 주둥이가 말리는 ... ...
- [수학뉴스]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발표,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까?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대표)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은 향후 5년간 2018년 3월부터 시행될 새 교육과정과 함께 초·중·고 수학교육을 만드는 신호탄이다. 아무도 소외되지 않고 즐길 수 있는 수학교육이 이뤄질지 변화에 주목해 보자.새 수학교육 종합계획이 말하는 목표 달성 주요 방안1. 수학 학습량과 난이도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먹고 사는 걸까요?빛이 전혀 들지 않는 동굴에서는 식물이 자랄 수 없어요. 당연히 큰 초식 동물도 없고요. 대신 동굴에는 아주 작은 동물이 살고 있지요. 척추 동물로는 물고기와 도롱뇽, 박쥐 정도가 일부 있고, 새우같은 갑각류나 노래기, 지네 같은 절지동물이 많이 있어요. 지금까지 동굴 생물은 ... ...
- 게임보다 더 재밌는 넥슨컴퓨터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바닥에서 한 번 더 반사되어 광학센서로 들어가지요.광학 센서는 빛을 이용해 바닥면을 1초에 수천 번 스캔해요. 그럼 컴퓨터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스캔한 사진을 비교해, 마우스가 움직인 거리를 계산하고 포인터를 이동시킨답니다. 인터뷰독서와 체험으로 생각의 틀을 넓히세요! ... ...
- [Knowledge]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입자들은 발견되지 않는다. 그래서 LHC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만약 LHC의 에너지가 초대칭 입자들의 질량에 이르면 우리는 그 입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어느 정도 가까이만 가도 표준모형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을 보게 될 것이다. 과학자들은 LHC를 통해 '신의 입자'라는 별명을 가진 ... ...
- [Life & Tech] 트랜스포머 엘리베이터가 온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기자에게 우 부장이 말을 이었다. “기자님이 오셔서 승강기가 긴장했나 보네요. 원래는 2초도 안 걸립니다.”이제 승강기도 버스나 지하철처럼 언제 올지 예측하고 시간 맞춰 나갈 수 있게 됐다. 택시처럼 호출을 할 수도 있다. “비서가 하나 생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 부장은 자신만만하게 ... ...
- [과학뉴스] 물속에선 문어가 제일 잘나가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빠르게 수축해서 가속도를 얻는다.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겨우 1초다. 어뢰와 같은 딱딱한 물체는 물과 부딪히며 에너지를 잃지만, 문어 로봇은 오히려 주위의 물을 이용하기에 에너지 효율을 53%까지 높일 수 있다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하자, 최 박사가 “큐브샛”이라고 말해줬다.큐브샛은 20세기 말 미국에서 개발된 초소형 위성이다. 가로, 세로, 높이 각각 10cm의 정육면체형 기기를 기본 단위(1U라고 한다)로 하고, 이 기본 단위를 두세 개 연결해서 길게 만들기도 한다. 큐브샛은 개방형 위성이라 안에 통신, 생명과학, 재료 등의 ... ...
- [과학뉴스] 왕년의 거대 가속기 ‘테바트론’이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기록된 기존 자료를 오늘날의 디지털 장비로도 접근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왕년의’ 두 검출기 팀 과학자와 기술자는 물론, 컴퓨터과학자들이 힘을 모았다. 프로젝트의 총 책임자인 윌리스 사쿠모토 CDF 박사는 “적어도 2020년까지는 추가 설비를 설치하지 않고도 실험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