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찍는 과정을 생각해 보자. 조리개나 셔터스피드는 자동프로그램으로 맞춘다 해도, 초점은 자기가 원하는 곳에 정확하게 맞춰야 한다. 바로 눈앞에 있는 물체도 어려운데 수백km 상공에 있는 위성 카메라를 지상에서 원격으로 조종하는 일은 상상조차 하기 어렵다. 지상에서 조립할 때부터 나노미터(1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모두 구조됐다. 섀클턴의 탐험은 그 순간 명백한 ‘실패’로 확정됐다. 아무도 애초의 목표대로 남극을 횡단하지 못했다. 아니, 남극 대륙에 제대로 발도 디뎌 보지 못했다. 하지만 출항부터는 2년, 부빙에 갇힌 뒤부터는 1년 7개월이 지나는 동안, 이들은 최악의 남극 조난 상황을 견뎌 냈고 단 한 ... ...
- 원자핵공학과 - 핵융합 에너지 더 이상 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무엇인가요?원자로에서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것이 중성자입니다. 중성자는 핵분열 후 초속 10만km가 넘는 속도로 튀어나오는데, 이 속도를 유지하면서 연쇄적으로 다음 반응을 일으키는 게 중요합니다. 만약 물을 냉각제로 사용하면 물속 수소와 중성자가 부딪히게 되는데요. 운동량 보존법칙에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이론물리학의 끝’에 관해 언급할 때 내 마음 속에 있던 건 초중력이론이었습니다만, 초중력은 이제 빛이 바랬습니다. 우주상수와 암흑에너지, 중력파와 인플레이션 등 아직도 우리가 이해하고 설명해야할 문제는 산더미 같습니다.”이것으로 인터뷰를 마치도록 한다. 시공간을 돌아다니는 일은 ... ...
- [Hot Issue] 실감나는 영화 속 그래픽 비결은 수학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프레임 수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다.“LCD 화면은 특성상 잔상이 심하게 남기 때문에, 1초에 120~240개의 화상을 연속적으로 보여줘야 끊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문제는 모든 방송 영상이 이 정도로 많은 프레임을 갖지 않는다는 점이죠. 비결은? 바로 수학이에요. 복잡한 방정식으로 전후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로 가격이 결정되면서 차츰차츰 주방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했다.❶ 레이더레인지의 최초 모습. ❷,❻ 전기 오븐은 해를 거듭할수록 다양한 기능으로 현대 주방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❸,❺ 마그네트론의 모습. ❹ 레이시온사 전경.수학으로 더 완벽해지는 전기 오븐크리스 버드 영국 ...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대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단다.이주준비 1 화성을 파악하라!지난 9월,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인도우주개발기구(ISRO)가 개발한 탐사선 ‘망갈리안’이 화성의 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어. 현재 화성 표면을 촬영하고, 대기 성분 정보를 수집하는 중이지. 미국에서 발사한 ‘메이븐’도 ... ...
- 점심 먹고 돌아서면 저녁 준비해야 하는 내온동물의 삶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활동성을 유지하는 내온동물이 치러야 하는 비용이지요. 벌새는 몸집이 무척 작지만, 1초에 수백 번씩날갯짓하느라 에너지 소비가 크다. 그래서 해가 진 뒤에 체온을 낮추고 휴면한다.북극곰은 동면을 하지 않아도 충분히 북극의 겨울을 날 수 있다. 털과 몸속의 지방이 체내 열을 잘 보존하는 ... ...
- 새들은 왜 일부일처제를 지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부화시키기 위해 둥지 안에서 상당한 시간 동안 알을 품고 있어야 해요. 예를 들어 3월 초에 알을 낳는 까치는 밤에는 영하를 오르내리는 추위 속에서도 20~22일 동안 알을 품고 있어요. 암컷이 알을 품고 있는 동안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물어다 나르죠. 만약 수컷이 둥지에 먹이를 자주 가져다 ... ...
- 문화재 런닝맨 창덕궁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2014년 11월 8일 토요일, 고요하던 창덕궁이 갑자기 시끌시끌해졌어요. 선명한 형광색 조끼를 입은 어린이들이 빨개진 얼굴로 궁 이곳저곳을 탐색하고 다녔지요. 다들 한 손에는 스마트폰을 꼭 쥐고요. 대체 무슨 일이냐고요? 이날 창덕궁에서 ‘떴다! 청소년 문화재지킴이 기자단 현장취재의 날’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