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뉴스
"
안
"(으)로 총 10,374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원자력병원 통합 추진 보도에 "현재 논의 중단 상태"
2022.11.10
기구를 설립하는 등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한다. 아직 KAIST나 원자력병원 내 관련
안
을 추진하는 태스크포스(TF)도 구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원자력병원과 KAIST는 현재 정부정책과제로 연구 협력을 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통합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시행하면 영화나 소설에서 볼 수 있는 끔찍한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에서
안
전을 우선시하여 학자들이 스스로 연구범위를 결정했다는 점에서 1975년 아실로마 컨퍼펀스는 지금까지도 연구윤리의 기준을 보여 준 훌륭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 참고문헌 1. 제넨테크 홈페이지. www.gene ... ...
벌개미취·더덕 등 자생식물, 코로나 감염 억제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1.09
당이 붙어 있는 구조다. 세포막이 콜레스테롤과 유사한 이들 사포닌의 중앙부를 세포막
안
으로 받아들이고 한쪽에 길게 붙어있는 당 부위가 세포막 밖으로 돌출되면 이 돌출된 부분이 코로나바이러스 외피막과의 막융합을 가로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번 연구는 세포실험 단계의 연구결과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대구 수돗물 독성' 논란...'4대강 보'가 근본 원인일까
2022.11.09
언론을 통한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폭로성 보도로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만들어서는 절대
안
된다. ‘보’의 개방‧해체가 능사가 아니다 여름마다 반복되고 있는 ‘녹조’가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이 남긴 가장 대표적인 후유증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에 22조 원을 ... ...
[과학게시판] 과총 '2022 과학기술인 국회 방문의 날'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열기 위해 마련됐다. 주영창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개회사에서 "다양한 현
안
과 미래 도전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과학기술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 ...
"먹는 콜라겐, 피부개선 일부 효과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먹는 콜라겐은 주름개선 등 피부건강에 일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해외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먹는 콜라겐이 탄력 개선 등 피부 건강에 일부 ... 이어 “또한 먹는 콜라겐은 40대를 20대처럼 보이게 하진 않는다”며 “기적적인 결과를 기대해선
안
된다”고 당부했다 ... ...
신한울 1호기 '발목' 잡는 수소제거장비..."불꽃 튀어도 화재 확률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다르다"며 "미국은 이그나이터를, 유럽은 PAR를 주로 활용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김
안
전부장은 "예전에는 수소제거설비로 이그나이터만을 사용했지만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전력수급이 끊기는 비상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PAR를 추가 설치한 것"이라고 말했다. 수소를 태워 제거하는 수소점화기인 ... ...
약물 투여, 뇌 신호 실시간 측정...'브레인칩'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며 “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고민을 통해 해결책을 함께 고
안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일주 고려대 의대 교수.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천 개의 뉴런이 함께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또는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이들은 쥐의 뇌 3차원 지도와 그
안
의 뉴런 연결을 확인한 과정을 발표했다. 한국인 저자도 눈에 띈다. 이진형 미국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컴퓨터 모델링과 광유전학 기능적 자기공명영상(ofMRI)으로 뇌의 회로와 기능 장애를 규명할 수 ... ...
세계문화유산 내 빙하 3분의 1, 20년 내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2.11.05
이는 지구 빙하 면적의 약 10%를 차지한다. 보고서는 1만 8600개 중 약 3분의 1이 20년
안
에 사라질 것이라 봤다. 3분 2가 2050년에도 존재하지만 이 역시 지구 온도 상승 1.5도 제한 노력이 이어질 때 가능한 시나리오다. 보고서는 “빙하는 눈에 보이기 때문에 귀중한 기후변화 지표 중 하나”라며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