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선천면역만으로도 웬만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퇴치할 수 있다. 뒤늦게 도착한 항체는
남아
있는 패잔병을 청소하는 정도다. 그런데 나이가 들수록 선천면역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백신을 맞아 항체를 만들 세포를 준비시킨다. 그 결과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이 공동 전선을 ... ...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우리나라에 살던 귀한 새였다.현재 원앙사촌은 전 세계에 단 3마리, 그것도 표본으로만
남아
있다. 그 3마리 중 2마리가 금강과 낙동강에서 채집됐는데, 이들 표본은 모두 일본 도쿄 야마시나조류연구소에 있어 정작 우리는 세밀화로만 원앙사촌을 감상할 수 있을 뿐이다.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자생 ... ...
만성 바이러스 질환 치료하는 백신 개발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정신지체나 사망, 2차 감염을 유발할 만큼 위협적이다.이렇게 치유가 되지 않고 오랫동안
남아
있는 만성적인 바이러스는 면역 시스템에 걸리지 않기 위해 세포 속에 숨어 있다. 안 교수는 HCMV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만드는 US3 단백질이 숨어 있는 장소를 알아내기 위해 감염된 세포를 관찰하던 중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탐사를 마친 이후에도 여전히 작동하고 있었다. 나사의 과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은 아직
남아
있는 연료를 분사해 탐사선의 방향을 지구 쪽으로 향하도록 명령했다. 그리고 태양계의 모습을 담은 사진들을 지구로 전송했다. 물론 수십억 킬로미터나 떨어진 탐사선과 지구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는 ... ...
인간의 진화! 인류의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다른 포유류나 영장류와 공통점이 많아 이들이 공통 조상으로부터 진화해왔다는 증거로
남아
있다.다윈전 보고 퀴즈 풀기흔적기관은 동물에서도 찾을 수 있다. 특별전에는 골반이나 대퇴골 같이 뒷다리 골격이 퇴화한 흔적을 갖고 있는 동물이 전시돼 있는데 이 동물은 무엇일까?※ 이 문제의 ... ...
000만 잘하면 수학을 잘한다? - 수학 완전 정복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저녁에 양이 돌아오면 한 개씩 우리 안으로다시 들여 놓았지. 만약 밖에 돌멩이가
남아
있다면 돌아오지 않은 양이 몇 마리인지 알 수 있는 거야. 그러니까…. 이렇게 짝지을 수 있어. 하지만 돌멩이 같은 물체로 수를 나타내는 건 불편 했지. 그래서 얼마 뒤에는‘숫자’라는 기호를 만들어‘수’와 ... ...
초고도근시의 희망 렌즈삽입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재질과 모양이 인체에 무해한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몇 가지 위험요인이 여전히
남아
있다. 가장 큰 우려는 각막내피세포가 손상되는 것이다. ‘각막의 엔진’이라고 불릴 만큼 중요한 각막내피세포는 각막 안의 수분(방수)을 밖으로 내보내 눈을 투명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눈을 심하게 ... ...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일을 더듬기 시작한다. K가 주완을 크림의 남편감으로 점찍었던 바로 그날, 집에 혼자
남아
있던 크림은 우연히 K가 복용하던 약을 먹고 정신이 몽롱해지는 환각 증세를 경험한다. 크림이 먹은 약은 말기 암환자들이 복용하는 모르핀이었던 것이다. 크림은 그제야 집중력을 높이는 약이라던 K의 말이 ... ...
백성을 굽어 살피는 어진 소리 편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살펴본 박연은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다. 경석의 한 쪽 끝을 완전히 갈지 않아 먹줄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먹줄의 남은 부분을 모두 갈고 다시 연주하자 그때서야 음이 정확히 들어맞았다. 세종대왕은 미묘한 음의 차이까지 구분해낼 수 있는 절대음감의 소유자였던 셈이다.12율 음정 정하는 ... ...
침투이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불은 산 전체로 번진다. p=0.6일 때보다는 p=0.8일 때 불이 더 빨리 번지고 불타지 않고
남아
있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나무의 비율이 훨씬 낮다. 1982년 미국 코넬대 수학과 해리 케스텐 교수는 이 같은 2차원 격자의 경우 불이 전체로 번지는, 즉 침투하기 시작하는 임계확률이 0.5임을 증명했다.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