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이언트거북의 천국 알다브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물려주는 데 기여하길 희망한다. (번역 강석기 기자)토머스 페이책(Thomas P. Peschak)은
남아
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활동하는 해양생물학자이자 사진작가이다.10년 넘게 아프리카 해양과 사막을 찍고 연구해왔다. 올해의 BBC-셸 야생 사진가 상, 피지 사진 상 등을 수상했다.이번이 과학동아에 3번째 ... ...
고릴라와 함께한 영장류 진화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호모 사피엔스1967년 동아프리카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 발견.의의 : 현재
남아
있는 유일한 사람 종.수수께끼 : 높은 수준의 상징 문자와 언어를 쓰는 종이 호모 사피엔스 외에 또 있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난쟁이 친척 호모 플로레시엔시스2004년 인도네시아의 섬에서 발견된 호모 ... ...
완벽(完璧)한 입체, 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하옥은 우리말로 ‘옥에 티’라고 표현하며 거의 완벽하지만 아주 티끌만 한 결점이
남아
있다는 뜻으로 쓰인다. 회남자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도 실려 있다.“반점이 섞여 있는 표범 가죽은 순수한 여우 가죽만 못하다. ‘구슬에 티’(瑕玉)가 있다면 보배라고 할 수 없다. 이는 지극히 순수하기가 ... ...
내 머리의 화학반응, 파마 속 궁금증 셋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이온결합을 깨뜨리고 머리카락 컬의 모양을 흐트러트린다.따라서 파마가 끝난 뒤에는
남아
있는 알칼리성 물질이 모두 날아갈 때까지 가급적 머리를 감지 말아야 한다. 또한 비오는 날에는 공기 중에 수분이 많으므로 되도록 파마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황인덕 이사는 “알칼리성 물질을 중화하는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천문학계의 큰 이슈지만 관측 자료가 부족해 아직 그 정확한 발생원인은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NASA는 이미 2004년에 감마선폭발을 관측하기 위해 인공위성 ‘스위프트’를 발사했다. 폭발위치를 X선 검출기로 먼저 감지하면, 스위프트는 인공위성 전체를 돌려 상세 관측을 시작한다. 스위프트가 ... ...
산소이온 빔으로 광물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무엇일까. 2001년 호주 커틴공대 과학자들이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지구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물질은 호주에서 발견된 ‘지르콘’이란 광물이다. 이 광물의 나이는 무려 44억 400만 살. 광물에 나이테가 있는 것도 아닌데 나이를 어떻게 알아낼까.암석의 나이테 ‘동위원소 ... ...
생물진화 실험장! 갈라파고스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빠르게 줄어들었다. 핀타(Pinta)섬에는 ‘외로운 거북’이라는 이름의 거북이 딱 한 마리
남아
있는데, 이 거북은 몇 살일까?※ 이 문제의 정답을 적어 3월 16일까지 e메일(yhlee@donga.com)로 보내주시거나 전시회 현장에 마련된 함에 넣어주신 분 가운데 3명을 추첨해 과학동아 1년 정기구독권을 ... ...
[화학]분자의 모양과 극성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진정한 의미의 촉매로 볼 수 없고, 연쇄-종결 단계에서 제거되므로 반응 후에도 그대로
남아
있는 촉매와는 다르다.3) 메탄(CH4)은 중심원자인 탄소에 공유전자쌍이 4개있어서 분자구조가 그림(가)처럼 정사면체이다. 디클로로메탄도 중심원자인 탄소에 공유전자쌍이 4개있어서 분자모양은 그림(나 ... ...
당신을 ‘LCD의 아버지’로 임명합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트랜지스터를 토대로 개발한 메모리 소자는 핵심기술이다.그는 “앞으로
남아
있는 연구 인생에서는 원천기술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살아있는 세포는 이런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아이디어의 보고”라고 밝혔다.5년 뒤 그의 목표는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과 세포 내부와 외부에서 일어나는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겪은 과정입니다. “어쩌면 땅속 깊숙히 어딘가에 매머드의 뇌세포가 이처럼 온전히
남아
있을지도 모른다”고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사실 전 개인적으로 매머드 보다는 태즈메이니아 호랑이의 부활여부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태즈메이니아 호랑이는 캥거루와 마찬가지로 육아낭이 있는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