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엑스파일 나는 믿고 싶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있다. 다만 배아줄기세포는 그 자체를 인간 생명으로 볼 수도 있어 윤리적 문제가
남아
있다. 강석훈 전문의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6년부터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꿈이었던 영화와 드라마 시나리오를 쓰는 작가이기도 하다. 지난해 방송된 SBS 의학드라마 ... ...
매혹적인 미인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산화되면서 소위 탈색된다. 바닷가 모래사장에서 색이 좀
남아
있는 조개껍질은 죽은 지 얼마 되지 않은 것이고 아주 하얀 조개껍질은 죽은 지 오래된 것인데, 이것도 같은 원리다.한편 소설에서 도화서 화원을 독살할 때 등황이라는 안료를 사용하는 장면이 나온다. 등황은 ... ...
아름다운 올림픽 챔피언 몸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없어 지금의 S라인을 유지해도 된다는 ‘좋은 소식’을 전해주지만, 아직 전성기가 많이
남아
계속 힘든 운동을 해야 한다는 ‘나쁜 뉴스’도 전해준다. 결국 이제는 기술개선만으로 기록 경신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장미란이여, 이제는 기술로 승부해야 한다.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도 ... ...
조선만의 하늘 갖겠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앙부일구는 임진왜란 때 없어지고 현재 받침대 일부인 일구대만 종로 탑골공원에
남아
있다. “군주와 관원의 하늘은 백성이다. 또 백성들에게 하늘은 곧 세 끼 밥이다. 그래서 조선만의 하늘을 갖고자 함은 이 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다”라고 역설했던 세종의 음성이 귓가를 맴돈다. 앙부일구 ... ...
[화학]가스하이드레이트의 치환 반응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설치한 뒤 바다 한가운데에서 육지까지 메탄을 대량으로 운송해야 한다는 점도 과제로
남아
있다. 마지막으로 가스 하이드레이트층의 변화가 지각 변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조사도 병행해야 한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이산화탄소와 질소와의 혼합기체를 가스 하이드레이트에 공급해 메탄과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현재 돌봐야 할 배우자나 자식이 없음을 시사하기 때문이다.음악의 이런 측면은 여전히
남아
있다. 어릴 때는 음악학원에 안 가겠다고 떼를 쓰던 아이도 사춘기가 되면 기타를 맹렬히 연습하고 이어폰을 끼고 산다. 대중가요의 가사를 보면 열에 아홉은 사랑이야기다. 밀러 교수는 “대중음악 ... ...
하수도 물까지 마신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나노미터(1nm=10-9m) 수준으로 작은 알갱이도 거른다. 마지막으로 자외선 소독을 해 혹시나
남아
있을지 모를 미세 생물을 없앤다. 큰그림 보러가기 2008년 현재 싱가포르의 뉴워터 공장은 모두 4곳으로 하루에 약 2억 900만L의 물을 정화해 자국 물 수요의 15%를 담당하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의 목표는 201 ... ...
[지구과학]빙하 없는 따뜻한 남극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주는 시상화석으로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유공충 화석의 석회질 껍질에
남아
있는 바닷물의 산소 동위원소와 마그네슘, 칼슘의 비율을 분석하면 당시 해수의 온도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이 유공충 화석을 분석한 결과 4000만 년 전인 신생대 에오세에 남극 바다 표층의 온도는 현재보다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사정거리 역시 200m 정도로 소신기전과 큰 차이가 없다. 세종 14년 완성됐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또 사전총통은 신기전과 유사한 형태로 연속발사가 가능하다. 화차에 ‘신기전기’를 올리면 신기전 화차가 되고, ‘총통기’(銃筒機)를 올리면 사전총통 발사대로 변모하는 식이다. 총통기에 50개의 ... ...
예비 과학자의 꿈이 영그는 곳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강추’로 참가한 동생 부산진중 1학년 배준수 군.과학이론심화수업에서 “육골 사료가
남아
있는 한 광우병 공포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며 “광우병 공포를 없애기 위해서는 소의 먹이부터 철저하게 감독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 부산진중 1학년 배준수 군은 팀원들의 박수갈채를 받았다.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