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누워서 태양계 누비는 푸른 공 천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보이는 이런 모습은 천왕성에서 일어 났던 엄청난 사건의 단서일지도 모른다. 행성과
위성
의 모습을 변화시킬만한 사건이란 인류가 1994년 직접 목격한 목성과 혜성의 충돌 같은‘우주충돌’을 말한다. 과학자들은 태양계 초기에 천왕성이 지구 만한 크기의 천체와 충돌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조사하는 연구가 부산대(이동섭 교수)를 중심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다. 아울러 인공
위성
으로 동해전체를 감시하는 체계가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머지않아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동해감시 체계가 세워져 가동할 준비를 하고 있는 상태다.동해가 진정 우리의 바다가 되기 위해서는 철저히 ... ...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미국에서는 제2차 대전 말기 이후 VAR이 운영되어 왔으나 VOR로 점차 바뀌고 있다 기상
위성
등에서 구름의 모습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가시광선의 세기를 측정하는 방사계원료 유기물과 암모니아 및 공기(또는 산소)의 혼합물을 일정한 조건에서 적당한 촉매위로 보내면 함질소화 합물이 ... ...
2. 명함 같은 휴대폰 나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이곳에 평판 안테나를 인쇄해 부착할 수 있다면 기존의 안테나가 필요없을 뿐 아니라
위성
TV를 보거나 통신을 할 수 있다. 고속버스에서도 깨끗한 영화나 인터넷을 즐길 수 있다.휴대폰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어떨까. 얼마 전까지 휴대폰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안테나는 외부의 안테나를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20m 정도의 빙벽이 있다. 1950년대부터 간간이 찍은 항공사진과 최근 우리나라 아리랑 인공
위성
에 잡힌 모습을 비교하면 빙벽이 녹아내려 그 위치가 뒤로물러난 것이 눈에 보인다.더구나 물러나는 정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아주 빨라져, 최근 7년 동안의 후퇴량이 과거 38년 동안의 후퇴량보다 크다. ... ...
얼음 목걸이 두른 태양계의 꽃미남 토성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여정에 올랐다. 토성과 주변
위성
을 탐사하는 최초의 토성 궤도형 탐사선인 카시니에는
위성
타이탄의 최초 발견자인 호이겐스의 이름을 딴 소형탐사선이 부착돼 있다. 소형탐사선은 호이겐스의 후예들인 유럽우주기구에서 제작한 것으로, 낙하산을 이용해 타이탄에 착륙하게 된다. 그 뒤 4시간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우주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우주정거장이나 인공
위성
에 새로운 임무를 부여할 때도 진화 하드웨어칩을 이용하면 번거로운 과정 없이 새로운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또한 진화 하드웨어칩은 디지털 이동통신 분야에도 없어서는 안될 핵심 기술이 될 전망이다. 디지털 ... ...
목성의 새로운 가족 11개
위성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천문학자들이 하와이에 위치한 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을 통해 목성의 가족 구성원을 새로 관측한 결과, 11개의 꼬마
위성
이 추가로 발견 ... 신화에 등장하는 제우스의 연인을 본따 이름이 붙여졌다. 하지만 이들 새로운
위성
들의 공식적인 이름을 붙이기에는 연인이 얼마 남지 않았다 ... ...
중국 베이징 게놈연구소의 성공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듯하다고 전한다. 벽마다 ‘빨리 빨리 빨리’ ‘국가의 이익이 최우선’ ‘핵무기와 인공
위성
없이 세계에서 설자리가 없듯이 유전자 연구 없이는 세계에서 독립국가가 될 수 없다’ ‘과학적인 발견은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는다’와 같은 격문은 양 박사의 신념을 그대로 표현한다. 그를 따라 젊은 ... ...
우주 최대규모 감마선폭발의 정체 벗기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방불케 했다. 문제의 감마선폭발현상은 2001년 11월 21일 이탈리아와 네덜란드의 합작
위성
베포-색스(Beppo-SAX)에 의해 남반구의 카멜레온자리에서 처음 발견됐다. GRB 011121(감마선폭발체는 발견된 연월일의 각각 두자리 숫자로 명명된다)이라 명명된 이 감마선폭발체는 10시간 후 칠레에 있는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