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최대규모 감마선폭발의 정체 벗기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방불케 했다. 문제의 감마선폭발현상은 2001년 11월 21일 이탈리아와 네덜란드의 합작
위성
베포-색스(Beppo-SAX)에 의해 남반구의 카멜레온자리에서 처음 발견됐다. GRB 011121(감마선폭발체는 발견된 연월일의 각각 두자리 숫자로 명명된다)이라 명명된 이 감마선폭발체는 10시간 후 칠레에 있는 ... ...
중국 베이징 게놈연구소의 성공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듯하다고 전한다. 벽마다 ‘빨리 빨리 빨리’ ‘국가의 이익이 최우선’ ‘핵무기와 인공
위성
없이 세계에서 설자리가 없듯이 유전자 연구 없이는 세계에서 독립국가가 될 수 없다’ ‘과학적인 발견은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는다’와 같은 격문은 양 박사의 신념을 그대로 표현한다. 그를 따라 젊은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대한 정보가 충분치 않아 이에 따른 ‘오해’의 여지가 있는게 사실이다. 하지만 인공
위성
사진을 분석한 전문가들은 금강산댐에 보통 댐과는 다른 ‘위험징후’가 있다고 보고, 하루 속히 정밀조사를 벌여야 한다고 말한다. 금강산댐의 대응댐인 평화의댐 설계에 참여했던 강원대 토목공학과 ... ...
현실 속의 동물 상상 속의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수 없는 동물에 대한 기억‘지구에서 사라진 동물들’은 1995년 4월부터 1년간 일본 NHK
위성
방송에서 방송된‘20세기 생물의 묵시록’이라는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한 책이다. 이름 처럼 이 책은 20세기 지구에서 멸종해간 동물들을 하나하나 자세히 다루고 있다.로마시대 야외경기장에서 맹수들의 ... ...
2. 위기를 도약의 기회로 삼은 선진국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뒤쳐진다는 불안감을 느끼기 시작했다.1957년 10월 4일 옛 소련은 세계 최초의 인공
위성
인 스푸트니크호를 성공적으로 우주에 발사했다. 미국의 경각심은 극에 달했고, 정치인과 군사전문가들은 과학교육의 개혁이야말로 자존심을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길임을 깨닫게 됐다. 곧 엄청난 양의 자금이 ... ...
주피터 X선으로 윙크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들 가운데 목성의 오로라는 절세 미인 이오와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생각됐다. 사실
위성
인 이오는 주피터의 ‘사랑’인 중력을 너무 많이 받은 탓에 화산활동이 활발하다. 화산에서 분출된 황·산소이온이 목성의 거대 자기권을 따라 가속돼 목성에 오로라를 일으킨다고 예측됐다. 반면에 지구의 ... ...
모르는 사실이 더 많은 이웃 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중국은 무인뿐 아니라 유인 달착륙계획도 수립하고 있다.우리나라도 2005년 자력으로
위성
발사에 성공해 기술발전이 계속 이뤄진다면 언젠가 달을 향해 도전할 것이다. 이때 탐사선의 달 도착일을 팔월 한가위로 하면 어떨까. 모든 국민이 보름달을 쳐다보는 가운데 우리의 탐사선이 달에 도착해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그 주인공이다. 그러나 별빛이 아무리 선명한 날이라도 맨눈으로 목성 주위를 도는 4개
위성
이나 토성의 아름다운 고리를 보기는 어렵다.이런 인간 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 바로 망원경이다. 렌즈가 발달하기 시작한 이래 인간은 더 멀리, 더 정확하게 보기 위해 망원경의 성능을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사람들이 자주 드나드는 곳이면 한쪽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자동판매기. 고대시대에 발명됐고, 근대 산업혁명 이후에 상업화된 역사가 오래된 장 ... 이같은 원격제어를 위해 코카콜라는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현재 진행중이다. 여기에 인공
위성
을 이용할 계획이라고 업계 관계자는 말한다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윌슨이었다. 이들은 원래 정밀한 전파망원경을 사용해 전하늘을 관측하며 통신
위성
과 간섭현상을 일으키는 전파신호를 측정하려 했다. 그런데 예측 못하던 잡음이 사방팔방에서 잡혔다. 원인이 망원경에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망원경의 부품을 모두 분해했다. 심지어 망원경 안에 사는 ... ...
이전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