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소두증, 지카바이러스 단독범행일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독성이 강해진 이유도 설명할 수 있다. 뎅기 감염률이 낮은 아프리카와 달리, 중남미는 전체 인구의 90%가 12세 전에 뎅기에 감염될 정도로 만연해 있다. 뎅기뿐 아니라 치쿤구니야, 웨스트나일 같은 플라비바이러스가 전반적으로 아프리카보다 중남미에 많다. 그만큼 항체가 교차반응할 가능성도 ... ...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진하게, 또는 옅게 만들 수 있어요. 또 여러 픽셀이 이루는 선과 면의 모양을 바꾸면 전체적인 도형의 모습을 작거나 크게 만들 수도 있지요. 이런 방법으로 얼굴색을 밝게 하고, 부위별로 날씬하게 만드는 거예요.영화와 애니메이션 같은 동영상도 픽셀을 변형해 색이나 모양을 바꿀 수 있어요. ... ...
-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구멍이 뚫린 검은색 스테인리스 판(그래핀 필름과 유사한 모양이 죠) 1200여 개가 건물 전체를 감싸고 있습니다. 연구소 사람들은 이것을 ‘베일(veil)’이라고 부릅니다. 베일로 둘러싸인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까지 총 5개 층으로, 면적은 7825m2에 이릅니다.영국 정부는 6100만 파운드, 우리나라 ... ...
- [수학뉴스] 취향 존중하는 피자 배분법 발표!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대칭인 n각형 2n개로 나눌 수 있음을 알아냈습니다. 정다각형의 꼭짓점이 많아질수록 전체적으로 원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동그란 피자를 자를 때 이 원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영국의 과학전문언론 ‘뉴사이언티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 방법으로 직접 피자를 잘라봤다고 밝힌 해들리 박사는 ... ...
- [수학뉴스] 수학 모형으로 도시의 뎅기열 확산을 예측하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뎅기열 환자들의 데이터를 ‘SIR-네트워크 모형’에 적용한 것입니다.SIR-네트워크 모형은 전체 인구를 S, I, R로 구분한 뒤 전염병이 퍼지는 현상을 분석하는 가장 기초적인모델입니다. S는 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사람, I는 병에 걸린 사람, R은 병에 대한 면역이 있는 사람을뜻합니다.연구 결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생생한 새의 상태가 한눈에! 꾸룩새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솔부엉이, 박새, 소쩍새, 까치 등 새들이 많이 살아요. 사실 연구소뿐만 아니라 마을 전체가 정다미 소장의 연구소나 마찬가지예요. 어린 시절부터 마을 주민들의 도움을 받아 여러 새들을 관찰하고 연구할 수 있었지요.”펠릿 속 동물 뼈는 왜 맞추는 걸까?꾸룩새 연구소는 집 앞 창고를 개조해 ... ...
- [News & Issue] 맞춤 항생제 3분 만에 처방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파악하는 데 수 일에서 수 주가 걸렸다. 병원균을 추출해 배양한 뒤 고성능 컴퓨터로 전체 DNA를 분석하거나, 항생제를 적용한 뒤 나타나는 반응을 일일이 확인해야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소프트웨어는 병원균의 내성과 관련된 특정 유전자만 감지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4500여 명의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여러 종류가 있다. 폴란드 작가 에드문드 몬시엘(1897~1962)의 작품을 보면 작은 구조가 전체 구조 안에서 끝없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프랙탈’이 연상된다(70쪽). 그의 그림에는 어떤 사람의 얼굴이 끊임 없이 반복된다. 얼굴 속에 얼굴이 있고, 몸에도 얼굴이 있다. 캔버스의 모든 곳을 빈틈없이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계급이 “하나의 특별한 어려움이며, 사실 처음에는 도저히 극복 불가능하고 내 이론 전체를 무너뜨릴 것 같다고 봤다”고 고백했다.남을 돕는 이타적 행동이 왜 다윈의 진화 이론에 그토록 큰 위협이 될까. 다윈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을까.협력은 흔하다지난 화에서 우리는 자연 선택이 ... ...
- [Tech & Fun] 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❷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上)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인터넷을 조금만 찾아봐도 시체의 뼈를 이용해 사망자의 키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전체 뼈가 모두 남아있지 않더라도, 혹은 두개골이 없어도요. 뼈의 일부로 키를 추정하는 공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쓰이는 공식은 1958년에 나온 ‘트로터와 글레저 기법(Trotter & Gleser)’입니다. 이 기법은 2014년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