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진하게, 또는 옅게 만들 수 있어요. 또 여러 픽셀이 이루는 선과 면의 모양을 바꾸면 전체적인 도형의 모습을 작거나 크게 만들 수도 있지요. 이런 방법으로 얼굴색을 밝게 하고, 부위별로 날씬하게 만드는 거예요.영화와 애니메이션 같은 동영상도 픽셀을 변형해 색이나 모양을 바꿀 수 있어요. ... ...
- 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꾸준히 늘고 있어요.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물은 쥐를 포함한 설치류로, 전체의 91% 이상을 차지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공헌 실험동물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 ...
- [News & Issue] 맞춤 항생제 3분 만에 처방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파악하는 데 수 일에서 수 주가 걸렸다. 병원균을 추출해 배양한 뒤 고성능 컴퓨터로 전체 DNA를 분석하거나, 항생제를 적용한 뒤 나타나는 반응을 일일이 확인해야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소프트웨어는 병원균의 내성과 관련된 특정 유전자만 감지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4500여 명의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수중촬영기술도 배운다. 사건현장에서 다이버 한 명은 계속 촬영만 한다. 감식과정 전체를 기록해야 법정에서 증거 능력을 인정받기 때문이다. 변사체를 발견하면 손을 대지 않고 시체낭에 담아 공기주머니로 들어올린다. 물에서 나오자마자 시체를 검시하고, 증거물에서 지문과 유전자를 채취한다.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계급이 “하나의 특별한 어려움이며, 사실 처음에는 도저히 극복 불가능하고 내 이론 전체를 무너뜨릴 것 같다고 봤다”고 고백했다.남을 돕는 이타적 행동이 왜 다윈의 진화 이론에 그토록 큰 위협이 될까. 다윈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을까.협력은 흔하다지난 화에서 우리는 자연 선택이 ... ...
- [Tech & Fun] 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❷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上)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인터넷을 조금만 찾아봐도 시체의 뼈를 이용해 사망자의 키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전체 뼈가 모두 남아있지 않더라도, 혹은 두개골이 없어도요. 뼈의 일부로 키를 추정하는 공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쓰이는 공식은 1958년에 나온 ‘트로터와 글레저 기법(Trotter & Gleser)’입니다. 이 기법은 2014년 ... ...
- [Tech & Fun] 광물이야기12 콩크레소-레온 황연석(Mimetite) 어느 모험가의 유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원하기 때문에 이를 아는 광부들은 광맥을 조심조심 다룬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광산 전체의 생산성이 떨어진다. 상업적 광산은 경제성이 없어지면 채굴을 중단하고, 이런 폐광산은 열혈 수집가와 벤처 광물 딜러들이 수집용 표본을 사냥(hunting)하는 좋은 표적이 된다. 이미 갱도나 기본적인 ... ...
- [수학뉴스] 수학 모형으로 도시의 뎅기열 확산을 예측하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뎅기열 환자들의 데이터를 ‘SIR-네트워크 모형’에 적용한 것입니다.SIR-네트워크 모형은 전체 인구를 S, I, R로 구분한 뒤 전염병이 퍼지는 현상을 분석하는 가장 기초적인모델입니다. S는 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는 사람, I는 병에 걸린 사람, R은 병에 대한 면역이 있는 사람을뜻합니다.연구 결과 ...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프랙탈로 볼 수 있겠네요. 번개는 큰 줄기를 기준으로 옆으로 가지를 치며 나타나는데 전체적인 형태를 보면 비슷한 모양으로 가지를 치고 나가잖아요. 번개의 길이도 잴 수 있겠네요.”“당연하지. 그런데 번개나 구름의 프랙탈과 다르게 내가 서 있는 이 해안선은 완벽히 같은 비율로 형태가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써 창호의 가장 바깥쪽을 제외한 나머지 살의 간격을 일정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를 만들었답니다. 창호살의 간격은 건물의 크기에 따라 달라졌습니다.다섯 번째 관문은 새로운 띠살창호를 만드는 겁니다. 단, 예전부터 지켜온 조건을 만족해야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