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 위의 날쌘돌이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발목을 마지막에쭉 펴면서 힘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지. 스케이트를 신은
채
발목을 쭉 펴려다간 날 앞부분이 얼음에 끌려 마찰만 생길 뿐이야. 그래서 스케이팅에서 무릎을 펼 수 있는 각도는 160°가 최대야.최고의 경기장 환경순수한 물로 얼음을 만들면 물분자끼리 잘 엉겨붙어 마찰이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빨갛게 상기된 젊은 대학생까지 모두 자리에 앉거나 혹은 앉을 곳이 없어서 뒤쪽에 선
채
로 기대에 가득한 얼굴을 하고 있었습니다. 무엇을 기다리고 있던 것일까요? 얼마 뒤 후드티를 입은 평범한 남자가 단상 위에 올랐고 사회자의 소개가 이어졌습니다.“여러분, 이번에 한국을 방문하신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동식물들도 다양한 음료를 즐긴다. 박주가리는 뿔처럼 길쭉하고 뾰족한 열매를 맺은
채
잔치에 왔다. 박주가리는 깃털처럼 하얀 실타래가 달린 씨앗 잔을 들었다. 씨앗은 길이 6~8mm에 뒤집어 놓은 달걀처럼 생겼다. 하얀 실타래가 달린 덕에 바람을 타고 날아간다.들국화 위에 걸린 거미줄이 비에 ... ...
새해 첫 천문이벤트 금환일식을 즐기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하지만 달이 해를 빠져나가기 전 일몰이 시작되기 때문에 일식을 볼 수 있는 시간은
채
1시간도 되지 않는다.제주서귀포에서는 해의 77%가 가려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비교적 동쪽에 있는 대전은 해의 69%가, 부산은 61% 정도가 달에 가려진다. 국내에서 진행되는 부분일식은 기온이 떨어지고 주변이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명의 주민이 살고 있었지만, 사고 뒤 모두 대피해 지금까지 25년 가까이 사람이 살지 않은
채
버려져 있다. 현재 이 도시의 콘크리트 건물은 금이 가거나 녹이 슬어 있고, 거리는 온통 풀과 나무로 뒤덮인 상태다.숲 파괴는 그만~!만약 사람이 미래에도 계속해서 나무를 베어 숲이 사라진다면? 사람이 ... ...
Part 4. 스키, 하늘을 날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달리 빅에어는 다양한 연기가 목적이다. 빅에어는 아직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
택되진 않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썰매 삼총사와 스키 패밀리썰매 삼총사의 달리기 뼈대있는 스키 가족 멋쟁이 스키 친척 스키, 하늘을 날다 종이접기의 ... ...
[인터뷰] 최초의 여자 대통령을 꿈꾸는 수학 영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아낌없이 빼앗는 것이다”라는 말을 남긴
채
아들인 비담 앞에서 죽음을 맞이한 미실. 미실의 죽음과 미실의 곁을 지키며 눈물 짓는 비담을 보고 당황한 기색이 역력한 덕만과 김유신! 선덕여왕 재방송이냐고? 아니, 충암초등학교 5학년 매화반 친구들이 선덕여왕의 한 장면을 멋들어지게 재현한 ... ...
풀지 않고 필요한 정보 알아내는 암호 체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않은
채
어떤 계산이라도 할 수 있게 된다. 그는 이 방법이 마치 환자가 옷을 벗지 않은
채
수술을 받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아쉽게도 젠트리 박사의 암호 체계를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새로운 알고리듬은 엄청난 계산량을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이 방법을 쓰면 암호를 해독해 데이터를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달릴 수 있다. KHR-2 때는 이 기능이 미처 완성되지 않았다. 한 발을 뒤로 뻗어 버티고 선
채
로 정지하는 수준에서 만족했다.완성된 휴보2는 당연히 KHR-2보다 한결 빠르고 안정적이다. KHR-2의 달리는 속도는 시속 2km 정도. 두 발의 보폭은 20cm 정도였다. 이에 비해 휴보2는 시속 3km 정도의 속도로 달린다.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여러 시도를 충분히 해보는 가운데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니까요.시도는 하지 않은
채
머릿속으로만 생각하는 학생은 안되는 이유만 생각하기 때문에 발전할 수 없어요.”양 교수는 아직도 일이 재밌고 연구가 신난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좋은 결과들이 나오니까 당연한 얘기인지도 모르겠다.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