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저자"(으)로 총 2,2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기, 나방, 빈대 피하려면 ○○색 옷을 입으세요~2016.05.03
- 특정 색상의 텐트로 모여들었는데요. 바로 빨간색과 검정색 텐트였지요. 이 논문의 주요 저자인 코레인 맥닐 박사는 처음에는 빈대가 빨간색 텐트로 피한 이유가 빨간색이 그들의 주식인 동물의 피 색깔과 같기 때문이라고 추정했습니다. 하지만 실험을 통해 밝혀진 바로는, 빈대의 몸 색깔이 ... ...
- 유방암 ‘유전자 백과사전’ 나왔다2016.05.03
- 아시아 환자들의 유전체 분석을 담당하는 ‘아시아 센터장’으로서 책임저자(교신저자)로 논문에 이름을 올렸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방암과 연루돼 있는 주요 유전자는 총 93개다. 또 93개 유전자에서 일어나는 1628개의 변이가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연구팀은 93개 유방암 유발 ... ...
- 내 마음을 읽어봐! 사람의 얼굴 표정에 반응하는 말(馬)2016.04.30
- 그 감정을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다른 저자인 캐런 맥콤 교수는 “상대방의 감정을 인식하는 것은 말처럼 사회적인 동물에게는 굉장히 중요한 능력”이라며 “동물의 사회적 행동 양식을 파악하기 위해 그들의 정서적 판단 능력과 그에 따른 ... ...
-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꿈은 요리사?2016.04.24
- 삶을 수 있고 껍질도 잘 까지게 하는 비법이라고 하는데, 원리가 궁금하지 않은가. 저자에 따르면 달걀껍질 성분은 탄산칼슘과 탄산마그네슘 등 주로 석회질로 이뤄져 있어서 식초에 잘 녹는다. 달걀을 식초에 몇 시간 넣어두면 껍질이 사라지고 투명한 달걀이 된다. 즉 식초가 껍질을 산화시켜 잘 ... ...
- [책의 향기/150자 서평]지구 생태의 미래를 엿보다동아일보 l2016.04.23
- 먹을거리, 인체 건강 등 환경을 둘러싼 이슈들에 대해 생물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인 저자가 대중 독자들을 대상으로 알기 쉽게 설명했다. 현상 진단과 함께 대처방안도 제시했다. 1만6000원. 이순신의 7년(정찬주 지음·작가정신)=정찬주 씨의 역사소설. 영웅 이순신이 아닌 인간 이순신의 모습을 ... ...
- 치사율 높은 패혈증, 생존율 70%까지 높일 방법 찾았다2016.04.21
- 미쳤던 ANG2 단백질의 기능을 바꿔 패혈증을 억제하는 데 역이용한 셈이다. 공동 제1 저자인 이승준 IBS 혈관연구단 연구원(KAIST 의과학대학원 박사과정 연구원)은 “보통 치료용 항체는 표적 물질에 결합해 이를 무력화시키는 데 그치지만, 앱타는 표적 물질인 ANG2 단백질의 기능을 정반대로 바꿔 ... ...
- 하늘의 계시? 구름 모양으로 땅위의 동물 밝혀낸다2016.04.21
- 측정할 수 있는 것이지요. 예일대학교의 생태학 및 진화 생물학 조교수이자 공동 저자인 윌터 제츠(Walter Jetz)는 “이 기술로 멸종 위기에 직면한 동식물 서식지를 연구 및 관찰할 수 있다”고 말하며 “생물 다양성의 공간 패턴을 이해하는 것은 특정 종들의 보존 및 관리와 관련해 어떤 결정을 ... ...
- [책의 향기]인공지능의 물음 “지구상에 인간이 왜 필요한가”동아일보 l2016.04.16
- 밝지 않다. 2013년 옥스퍼드대 논문은 “미국에서 직업의 47%가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저자는 과거 산업혁명 당시 유럽에서 공교육과 사회보장제도, 세금제도를 도입해 위기를 헤쳐 나갔던 것을 돌아보면서 “향후 20∼30년 후에 새로운 산업혁명이 일어날 수 있지만 인류는 아직 아무 준비를 하고 ... ...
- [책의 향기]사생활 감시 vs 사회적 이익 빅데이터의 두 얼굴동아일보 l2016.04.16
- 프라이버시를 기본 인권으로 인정하고 데이터 수집과 오용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정부는 ‘당신의 모든 데이터를 갖게 해준다면 범죄와 테러로부터 당신을 보호해 줄 수 있다’고 말하지만 그렇게 될 리가 없다”며 “프라이버시 보호를 의회와 대중이 공개적으로 논의해야 ... ...
- 충격! 개구리 잡는 벌레 등장2016.04.16
- 방법을 쓴다고 합니다. 애벌레에게 혀를 물린 두꺼비 - 플로스원 제공 저널의 주요 저자인 질 위젠(Gil Wizen) 박사는 “흥미롭게도, 일반적으로는 에포미스종(種)에 속하는 이들과 다른 종류의 딱정벌레와 그들의 유충은 양서류의 먹잇감이 된다”며 “이 특이한 2종의 애벌레 및 성충은 양서류의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