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뉴스
"
쪽
"(으)로 총 3,592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스라엘 달 탐사선, 첫 궤도조정 실패하며 난항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직후 센서가 태양 빛에 예상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밝혀져 태양 빛이 없는
쪽
에 맞춰 제한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베레시트 기술진은 이런 임시적인 조치가 컴퓨터 자동 재부팅과 연관돼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틀 안에 자동 재부팅의 원인을 찾아내 다음 번 궤도조정 ... ...
우주에서 본 일제 강제징용 상징 ‘군함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모습. 다목적실용위성3호로 지난 13일 촬영했다. 사진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일본 남서
쪽
나가사키 항에서 약 18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작은 섬 하시마. 남북 480m에 동서 160m의 길쭉한 섬 모양이 일본 군함을 닮았다 해서 '군함도'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 섬은 19세기에 매립을 통해 만들어진 뒤 194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메냐는 올림픽 여성 800m 3연패 할 수 있을까
2019.02.26
있기 때문이다. 446명 가운데 16.5%가 전형적인 남성의 범위를 벗어나 있었고(물론 낮은
쪽
으로) 심지어 1.8%는 여성의 범위에 들어갔다.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엘리트 선수 여섯 명에 한 명꼴로 평범한 남자들보다도 수치가 낮은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편 IAAF의 20 ... ...
3D 프린팅 기술로 휘어진 코뼈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코 중앙에 수직으로 위치해 콧구멍을 둘로 나누는 칸막이인 비중격은 대부분 약간씩 한
쪽
으로 휘어져 있다. 하지만 휘어짐이 심각하면 코막힘, 수면장애 등 질환이 동반된다(비중격 만곡증).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6년 기준, 5만 명이 넘는 사람이 비중격 만곡증으로 수술 받았다. ... ...
인간도 지구자기장을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4
빛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파란색 빛이 제외되는 특수 안경을 썼을 때는 자기장 북
쪽
방향을 찾지 못했다. 채권석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인간의 자기감각이 존재함과 눈이 자기감각과 관련된 기관일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규명했다”며 ”향후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서 자기감각과 인간 ... ...
코로 거품 만든 강아지 ‘화제’
팝뉴스
l
2019.02.21
화제의 이미지로 떠오른 사진이다. 사진 제목은 “거품 만든 강아지”이다. 강아지의 한
쪽
코에 정말로 거품 하나가 붙어 있다. 개는 이 상황은 전혀 인지하지 못한 것 같다. 또 알았다고 해도 사람처럼 부끄러워하지도 않을 것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이런 순간을 담은 사진은 아주 희귀하다면서 ... ...
해외석학들 “핵융합은 ‘아무도 가지 않은 길’ 2030년대면 효율 윤곽”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방식도 백업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두 방식은 서로 장단점이 달라 어느
쪽
이 절대적으로 옳다고 말하기 어렵다. 다만 현재로서는 성능은 토카막이 우위다. 가마다 부소장은 “일본이 오래 연구 중인 대형 스텔러레이터인 LHD조차 KSTAR보다 성과가 떨어지는 게 현실”이라며 “현재 핵융합 ... ...
과기부 "4대 과기원 통합,중장기 검토 사항" 추진 가능성 첫 공식 언급(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대한 설명자료에서 “통합 운영은 중장기적으로 검토할 사항”이라고 밝혀 사실상 통합
쪽
으로 방향을 잡은 것인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정부가 공식 문서에서 4대 과기원 통합 시기에 대해 언급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21일 조선일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4대 과기원을 KAIST를 중심으로 ... ...
해왕성 14번째 초미니 위성 발견 “40억 년 전 충돌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같은 방법을 활용해 보이저 2호의 촬영 이후 지상에서 관측되지 않던 해왕성 가장 안
쪽
에 위치한 지름 66km의 소형 위성 ‘나이아드’를 재발견하는 부수적 성과도 얻었다. 연구팀은 “트리톤과 해왕성 사이의 위성들이 충돌로 형성됐다는 기존 이론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라며 의의를 설명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레예프는 왜 희토류 원소를 싫어했을까
2019.02.19
d(1)7s(2)다. 5f 오비탈보다 6d 오비탈에 먼저 전자가 채워진다. 원자번호가 커질수록 바깥
쪽
오비탈의 에너지 차이가 미미해지기 때문에 이처럼 마델룽 규칙을 벗어나는 배치가 나오는 것이다. f 오비탈에 전자가 없는 란타넘(La)과 악티늄(Ac)을 f 블록에 넣는 건 이상한 데다, 이들 원소의 d 오비탈에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