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
측
페이지
장
페이쥐
편
뉴스
"
쪽
"(으)로 총 3,593건 검색되었습니다.
[Science토크]무한경쟁 우주발사체 시장…한국형발사체 설 곳은
동아사이언스
l
2019.02.03
게 먼저라는 주장이 맞섰던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독자 엔진 기술을 확보하는
쪽
으로 가닥이 잡혔지만 한국형발사체는 본발사 이후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고민을 지금부터라도 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난해 11월 75톤 엔진 비행 테스트 성공 당시 집중 조명됐던 ... ...
[주말N수학] 새로운 도형의 등장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
수학동아
l
2019.02.02
보였습니다. 뫼비우스 띠는 안과 밖의 구별이 없는 도형입니다. 종이 띠를 비틀어 양
쪽
끝을 붙이면 쉽게 만들 수 있어요.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도 마찬가지로 안과 밖의 구별이 없습니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의 활용 분야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독특한 구조로 ... ...
설 귀성길 소요시간 예측, 누가 족집게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02
공개하는 곳은 없다. 예측의 방향도 최대 소요시간에 집중하기보단 추천시간을 안내하는
쪽
에 주력하는 식이다. 다만 추천시간이 이른 시간이나 늦은 시간에 몰려있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교통량이 몰리는 시간대가 당연히 주 활동시간인 낮이다 보니 이번 설 귀성시간으로 오전 7시 ... ...
“10만 년 전 러시아 동굴, 두 인류 공존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로빈 덴넬 영국 옥스퍼드대 고고학과 교수는 네이처에 기고한 논평에서 “데니소바 북서
쪽
지역에 약 4만 년 전부터 현생인류가 살았다”며 “현생인류 또는 현생인류와 데니소바인이 낳은 후손이 작품을 남겼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데니소바 동굴에서 출토된 뼈로 만든 바늘과 ... ...
팔 움직임 보고 사람 의도대로 움직이는 로봇 손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때문에 다른 센서가 필요 없다. 조규진 센터장은 “손 마비 환자가 팔을 서서히 컵
쪽
으로 움직이면 AI가 순간순간 다음에 이어질 동작을 예측해 ‘컵을 집어 들려고 한다’는 의도를 알아차리고 웨어러블 로봇에 그에 맞는 다음 동작을 명령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같은 각도에서 손이 멀쩡한 ... ...
'천연색으로 본 구름속 한반도' 천리안 2A호 첫 영상 공개
2019.01.29
외에 호주와 중국 내륙 속 붉은 사막의 모습도 보인다. 호주 북서
쪽
해상에서 발생해 서
쪽
으로 이동하는 열대저기압 ‘릴리’도 눈에 띈다. 천리안 2A는 한국이 개발한 정지궤도 기상위성으로 천리안 1호에 비해 공간을 세밀하게 관측하는 능력(해상도)가 4배 향상됐다. 기존에는 가로세로 1km 공간을 ... ...
남극해에서 ‘솟아오르는 맨틀’ 발견…‘맨틀 표준모형’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맨틀의 상승이 일어나 균형을 이룬다고 봤다. 하지만 이번에 호주-남극 부정합 동
쪽
에서 맨틀 하강이 아니라 상승이 발견됨에 따라, 30년간 학계를 지배해 온 지구 전체의 ‘맨틀 대류 표준모형’의 변경도 필요해졌다. 박 책임연구원은 “전지구적 맨틀 순환과 진화 과정을 더 정확히 규명하기 위한 ... ...
"미세먼지 씻을 비는 내리지 않았다" 인공강우 사실상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어려워졌다. 국립기상과학원과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달 25일 오전 10시 영광에서 북서
쪽
으로 110㎞ 떨어진 서해상에 기상항공기를 띄워 인공강우를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 실험을 진행했다. 환경과학원은 기상 선박에 탑재한 미세먼지 관측장비와 내륙의 도시대기측정소 등에서 대기 중 미세먼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안데스 산맥은 어떻게 지구상 가장 긴 산맥이 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일어나지 않았다. 이후 나즈카 판이 남미 대륙을 미는 과정에서 섭입 지점이 점차 남
쪽
으로 확대됐고 약 5500만 년 전 이후에는 지금의 남안데스에서도 섭입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5500만 년 전까지만 해도 안데스 산맥은 지금처럼 길지 않았다는 뜻이다. 또 기존에는 중생대 후기 이후 나즈카 ... ...
[표지로 읽는 과학]하와이 킬라우에아 분화가 남긴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연구팀에 따르면 4월 30일 화산의 분화구 측면이 갈라지더니 산 아래 주택가와 가까운
쪽
으로 점점 크게 벌어졌다. 3일 뒤인 5월 3일 벌어진 틈으로 마그마가 분출되며 6.8km까지 흘러갔고 하루 뒤인 5월 4일엔 리히터 규모 6.9의 강진이 발생해 5m의 단층이 이동했다. 8월 4일까지 이어진 폭발로 화산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