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원"(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04
- 창의성 높은 학생이 규칙에서 쉽게 벗어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미국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프란세스카 지노 교수는 2014년 ‘심리과학’ 저널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런 상관관계를 밝혔다. 창의성이 높은 학생이 시험에서 커닝도 잘하고, 들어가지 말라는 깊은 물에도 잘 뛰어들었다. 도덕적인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04
- 모습. LD350-1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아래턱뼈 화석은 미국 애리조나대의 에티오피아인 대학원생이 최초로 발견했다.]이제 이번 기사의 주인공을 만날 차례다. 인류학자들은 2013년 에티오피아 레디-게라루 지역에서 발견된 새로운 화석에 주목했다. 연대를 측정한 결과 호모 하빌리스와 원인의 중간에 ... ...
- PART1. 고교생 100명이 묻고, 공대생이 답하다과학동아 l201503
- 하고 난 뒤에는 자유로운 회사 분위기에서 개발 일을 하고 싶다고 생각이 바뀌었죠.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 졸업 전에 미리 해당 연구실의 교수님 밑에서 인턴으로 일을 하죠. _주은진번외질문 공대생끼리 서로를 알아보는 방법이 있나요?물론 있습니다. 왠지 모를 ... ...
- [지식] 자유를 사랑한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 탄생 100주년수학동아 l201503
- 갖게 됐다. 모리스 오댕은 슈와르츠 지도 아래서 박사 학위 논문을 쓰던 알제리 출신의 대학원생이었다. 그는 어느 날 알제리에서 체포된 뒤에 사라졌다. 알제리 독립운동을 하다가 투옥됐고, 모진 고문 끝에 사망한 것이다.이 소식을 들은 슈와르츠는 프랑스 내에 오댕 위원회를 설립해 진상조사를 ... ...
- [생활]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2수학동아 l201503
- 이만근 교수의 일본여행기가 지난 호에 이어 계속됩니다. 과연 산가쿠는 어디에 있었을까요? 두 번째 이야기를 통해 실제로 찾아 낸 산가쿠를 확인해 보세요~문화·역사적 자존심을 걸고 벌어지는 한국과 일본 사이의 여러 논쟁은 자칫 감정 문제로 번지는 일이 많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럽다. 자칫 ... ...
- PART2. 대기업 인사담당자의 솔직토크과학동아 l201503
- 오래 걸린다. 한두 해 익혀선 응용단계까지 이를 수 없다. 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대학원까지 긴 시간 동안 도제식으로 훈련해온 사람만 가능한 일이라는 게 기업의 냉정한 평가다. 안 교수는 “반면 인문학적인 소양은 책이나 사회경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쌓을 수 있다”며 차이를 뒀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03
- 그렇게 잘 짜인 수업을 받을 기회도, 시간도 없습니다. 저는 통계학 수업을 듣지 않아서 대학원 때 무척 힘들었어요. 혼자 공부하느라 몇 배나 많은 고생을 했습니다. 전자공학을 공부하는 후배님이라면 물리, 수학, 생물 수업을 추가로 들어보세요. 더 넓게 공부하세요. 지식이 없으면 창의적인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02
- 미세한 진동으로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하냐는 기자의 질문에 윤지원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패턴 분석과 언어분 석 모델이 비결”이라고 대답했다. 윤 교수는 최근 휴대 용 카드 단말기 뒷면에 자이로스코프를 부착해 카드 비밀번호를 알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키보드에 자판을 칠 때 ...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02
- 모으는 등 새로운 기술이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지난해 4월, 김연상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와 권순형 전자부품연구원(KETI)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은 떨어지는 물방울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방울 전기생산은 10여 년 전부터 연구돼 왔는데, 주로 물방울을 누르는 ... ...
- PART 1. 미국은 왜 북한을 지목했나과학동아 l201502
- 게놈추적에 자신이 있다는 것이다. 사이버 게놈을 연구하는 김휘강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역시 “소니 픽처스 공격에 사용된 악성코드와 MBC와 KBS를 해킹할 때 사용했던 악성코드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며 북한을 이번 사태의 배후로 지목했다.사이버 전쟁은 적과 동지 구분이 어려워 불똥이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