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09
일본은 타조공룡 전문가인 홋카이도대 종합박물관의 고바야시 요시쓰구 교수와
대학원
생, 일반인 탐사자 등 9명이 참여했고, 몽골은 몽골학술원 고생물학센터의 연구원과 현장 지원인력 등 10명이 참여했다.처음 해보는 화석 발굴은 꽤 힘들었다. 먼저 발굴지가 상상 이상의 오지였다. 이미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09
모습처럼 보였을까. 몇 년 전 명 소장은 스승의 날에 큰가제바위로 잠수했다가 갑자기
대학원
지도교수 생각이 나 목이 메였다고 한다. 바닷속에서 즉석으로 “스승님 고맙습니다”라는 글을 쓰고 사진을 찍었다. 명 소장은 “그 스승은 올해 돌아가셨다”며 다시 한 번 추억에 잠겼다.연구원들에게 ... ...
Intro. 2014년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까?
수학동아
l
201408
| 1974년 8월(만 39세)연구 분야 | 정수론소속 | 프린스턴대바르가바 교수는 2001년 당시
대학원
생 신분으로 독일의 수학자 가우스의 일부 연구를 확장해 발표했다. 이는 현대 대수이론의 토대가 되기 때문에 수학계는 흥분 했다. 그의 지도 교수이자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것으로 유명한 앤드루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
수학동아
l
201408
KT 미래사업개발그룹 빅데이터 프로젝트담당 김이식 상무는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에서 대수적 위상수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수학과 출신 인재다.“빅테이터 분석은 논리적 사고가 바탕이 되어야만 합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논리적 사고’를 배울 수 있는 과목은 수학이 ... ...
‘잘 늙고 잘 죽는’ 웰에이징 메카 꿈꾼다
과학동아
l
201408
있다. 모두 미래가 유망한 분야다. DGIST는 젊다. 연구본부가 세워진 것도 21세기고,
대학원
이 생긴 것은 불과 3년 전이다. 그리고 올해 처음으로 학부신입생을 받았다. 과학기술의 성과는 투자와 시간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제 막 발걸음을 시작한 DGIST의 미래가 기대되는 이유다. [DGIST는 ... ...
[생활] Google 검색의 비밀은?
수학동아
l
201408
역사는 어떻게 시작된 걸까? 바로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1995년 스탠퍼드대
대학원
에서 만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브린이 2년 선배이긴 하지만 동갑이었기 때문에 둘은 급속도로 친해졌다. 그리고 수학에 재능이 있는 브린과 컴퓨터에 관해 박학다식한 페이지는 수학을 이용한 컴퓨터 ... ...
우리 학과 뭘 배우지?
과학동아
l
201408
분야를 좁혀가며 공부를 해도 깊이 있는 내용을 알기가 어려워. 그래서 많은 학생들이
대학원
에 진학하지!Q&A 신소재공학과는 새로운 소재만 연구하나요?절대 그렇지 않아! 물론 아직 실용화되지 않은 첨단 재료도 개발하지만,이미 실생활에 널리 쓰이는 자동차 차체의 금속, 반도체 부품, 플라스틱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
수학동아
l
201408
설명하는 헤이스케의 모습을 인상적으로 본 자리스키 교수가 헤이스케를 하버드대
대학원
으로 초청한 것이다. 기회를 놓치지 않은 히로나카 헤이스케는 재능을 뛰어넘는 노력으로 수학 연구에 몰두했고, 결국 ‘특이점 해소’에 대한 연구로 필즈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는다.필즈상? 저는 안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08
현재 미국 뉴저지 주에 머물고 있는 그를 e-메일로 인터뷰했다.교수들 앞에서 강의하는
대학원
생?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막 미국 뉴저지 주 프린스턴으로 옮겨와 이삿짐을 풀었답니다.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존 폰 노이만 등 위대한 학자들이 연구했던 고등연구소에서 공부할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
과학동아
l
201407
운명이 바뀔 수 없다고 여겼던 것이다.변화는 엉뚱한 곳에서 왔다. 미국 스탠포드대
대학원
에 다니던 1년차 학생이 마리우스 워닉 교수에게 불가능해 보이는 실험을 제안했다. 중배엽에 해당하는 섬유아세포를 외배엽에 속하는 신경세포로 직접교차분화 시키는 실험이었다. 2010년 이 실험은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