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종료
d라이브러리
"
마침
"(으)로 총 43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09
게놈 신분증을 한번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무리한 부탁일까 걱정했지만 박 센터장은 “
마침
유산균 한 종의 신분증을 만드는 중이니 같이 한번 만들어 보라”며 흔쾌히 허락했다.step 1 세포 속 DNA 추출어떤 종이든 게놈 신분증을 만들기 위한 첫 단계는 DNA만 순수하게 분리하는 일이다. 우선 생물의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09
가속기부 연구원과 진숙현 행정팀 담당의 안내로 직접 저장링 안에 들어가 봤다.
마침
시운전 기간 사이에 단 하루 가속기를 멈추고 점검을 하는 날이어서 가능했다. 황금빛으로 빛나는 지름 10cm, 길이 170m의 구리 선형가속기 구간(114쪽 사진)을 지나 포항방사광가속기의 상징인 원형 ‘저장링’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09
앞에 지름 5m 정도의 작은 돌무더기 인공섬을 만들어 주자고 후쿠오카시에 건의했다.
마침
후쿠오카 시도 필요성을 느끼던 차여서 선뜻 예산을 냈다.그렇다면 왜 시민들이 보전에 나설까. 하토리 타쿠로 이사장은 “하카타 만에서 소년 시절을 보낼 때 투구게 등 생물이 풍부했지만 1970년대갯벌이 ... ...
쥐, 인간을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08
거대한 회사에 소송을 거는 일은 계란으로 바위치기죠. 억울하지만 별 수 있나요.그때
마침
미국 유타대 연구팀이 이 유전자를 없앤 쥐를 만들었어요. 그 쥐는 놀랍게도 심장의 좌심실이 점점 커져 혈액을 내보내지 못하다가 결국 죽어버렸대요. 바로 유방암 환자들이 허셉틴을 먹고 일으킨 ... ...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서울 서이초등학교 “색종이로'무게중심 새'를 만들었어요!”
수학동아
l
201108
6학년 1학기 수학시간에 배우는‘비례식’‘연비와 비례배분’단원과관련이 깊어요.
마침
학생들이 얼마 전에 배운 내용이어서 수업을 진행하기 수월했죠. 수업은 애니메이션‘리오’의 예고편을 보며 문을 열었어요. 10분 남짓한 시간이었지만 집중력도 최고, 수업에 대한 기대감도 최고였습니다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06
바다 속 땅을 단단하게 보강하는 공사까지 필요한데, 그 과정을 생략할 수 있었다.
마침
시화방조제 비교적 가운데라 위치도 적당했다.10대의 수차가 20만 명 쓸 전력 생산발전용 수차발전기는 이미 설치가 끝나 물에 잠겨 있었다. 거대한 수차의 위용을 직접 눈으로 보고 싶었지만 불가능했다. 수차와 ... ...
인도 최고의 여배우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05
그냥 조용히 구경만 할게요.”“자말의 친구들이군요. 혹시 함께 촬영하지 않을래요?
마침
외국 사람이 나오는 장면이 있는데, 분장을 하는 것보다 진짜 외국 사람이 나오는 게 좋을것 같아서요.”나중에 자말에게서 그 여자는 인도 최고의 여배우라고 전해 듣는다.“라티카가 나오는 영화는 항상 ... ...
알쏭달쏭 표준을 잡아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5
흠…, 이렇게 정밀한 측정 기구들을 보니까 나도 갑자기 내 정확한 키가 궁금해지는 걸?
마침
저기 길이센터가 보여!‘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어떤 일로 우리 길이센터를 찾아왔나요?겨울 방학동안 제 키가 정확히 얼마나 자랐는지 궁금해서 왔어요. 그런데 혹시 이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
과학동아
l
201105
일반인이 화학에 대해 갖고 있는 선입견이나 오해를 푸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겁니다.
마침
올해 세계 화학의 해가 1911년 퀴리부인의 노벨화학상 수상 100주년을 기념해 정해졌으니 책 제목도 의미심장하네요.오 저는 독일의 화학자와 과학저널리스트가 함께 쓴 ‘화학으로 이루어진 세상’을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05
숨기는 전략이다.프로벤치오 박사는 색소세포에서 빛을 감지하는 분자를 추적했고 1998년
마침
내 막대세포나 원뿔세포에서 빛을 감지하는 단백질인 옵신과 구조가 비슷한 단백질을 찾아 ‘멜라놉신(melanopsin)’이라고 명명했다. 연구자들은 멜라놉신이 개구리의 다른 조직에도 존재하는지 조사했다.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