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체
용체
물
처리액
조제액
물약
용제
d라이브러리
"
용액
"(으)로 총 630건 검색되었습니다.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12
검은 종이처럼 바탕색이 어두운 경우 보통 볼펜으로 글씨를 쓰면 알아볼 수 없다.
용액
에 색소분자가 녹아 있는 잉크를 쓰는 보통 볼펜은 투명도가 높기 때문에 빛이 바탕까지 도달해 흡수되기 때문이다. 이럴 땐 금가루나 은가루를 섞은 듯한 펜을 쓰면 글씨 선이 불투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12
벨크로(찍찍이)가 달려 있다고 보면 됩니다.” 큰그림 보러가기이렇게 만든 분자를 녹인
용액
에 금으로 된 전극을 넣으면 사슬의 끝이 금 표면에 찰싹 달라붙는다. 결국 금 표면에 고리분자가 촘촘히 박혀 마치 모내기 철 논에서 볼 수 있는 모판과 같은 형상이 된다. 분자들이 스스로 모여(자기조립)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10
화합물을, 음극 재료로는 흑연이나 코크스를 쓴다. 두 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은 리튬
용액
을 쓴다. 방전할 때, 즉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때는 리튬 이온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며 전자를 끌고 가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충전할 때는 반대로 양극에 있던 리튬 이온과 전자가 음극으로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10
가운데에 지름이 수nm(나노미터, 1nm=10-9m)인 구멍이 숭숭 뚫린 얇은 막을 두고 농도가 짙은
용액
에 고압펌프로 압력을 가하면, 짙은 쪽에서 옅은 쪽으로 용매가 이동한다. 크기가 큰 용질 대부분은 막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진다. 필터 역할을 하는 얇은 막은 폴리아미드 계열의 고분자 물질로 ... ...
오디오 잡음, 휴대전화 혼선 잡는 단결정
과학동아
l
200909
낚싯줄로 매달아 단결정 재료가 가득 녹아 있는 포화
용액
에 넣는다. 시간이 지나 포화
용액
이 증발하면서 녹지 못한 입자가 이 알갱이에 차곡차곡 달라붙어 단결정으로 성장한다. 900~1200℃의 열에 녹여 결정을 키우는 방법도 있다.언뜻 들으면 간단한 것 같지만 실제로 해보면 여간 까다롭지 않다. ... ...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
과학동아
l
200908
보니얼음 속에 포함되지 못한 이온음료 속의 염화이온, 나트륨이온, 마그네슘이온 등은
용액
속에 더 높은 농도로 남아있게 돼 생기는 일이다. 탄산음료에서도 얼음결정에 포함되지 못한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오면서 높아진 기압을 캔이 견디지 못하고 음료가 폭발적으로 튀어나가게 된다.음료수 ... ...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07
고압으로 액화된 탄화수소(프로판과 부탄)가 두 층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캔을 흔들어
용액
을 섞은 뒤 버튼을 누르면 좁은 틈이 열리면서 기압 차이로 내용물이 빠져나갈 때 탄화수소가 기화되며 미세한 거품이 형성됩니다.” 셰이빙 폼의 거품은 지름이 0.1mm 수준의 미세한 크기라 피부나 털에 잘 ... ...
‘공기파도’로 모양 구분해 신약 효능 분석한다
과학동아
l
200907
물질이 들어 있는
용액
에 전기를 걸어 이 물질을 이온화시킨다. 이온이 포함된
용액
은 시냅 HDMS의 스프레이팁을 거쳐 분무되면서 액체방울은 떨어지고 가벼운 이온만 분석기로 들어간다. 분무 효율을 높여 이온이 원활하게 흐르게 하기 위해 스프레이팁의 지름은 고작 10㎛(마이크로미터, 1㎛=10-6m ... ...
식품 속 거품의 핵심은 계면활성제
과학동아
l
200907
곱게 간 원두 6~7g에 온도가 90℃ 정도 되는 물을 넣고 7~9기압(bar)의 압력을 가해 짜낸
용액
이다. 원두는 보통 볶은 뒤 10~30일 정도 숙성된 커피콩을 쓴다. 볶은 지 얼마 안 된 신선한 원두 속에는 공기와 수분이 많이 남아 있어 크레마에도 섞여 나오기 때문이다. 이런 크레마는 거품은 많지만 기포가 ... ...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07
얻는다. 시료는 2cm 간격으로 1cm 두께의 부시료로 나눈다. 부시료는 염산(HCl)과 불산(HF)
용액
에 반응시켜 석회성분과 규산성분을 모두 녹여 없애고 남은 유·무기 잔류물을 지름 10㎛의 구멍이 송송 뚫린 체로 걸러낸다. 그 뒤 꽃가루 화석만 분리해 박편(현미경으로 보기 위해 얇게 만든 시료)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