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대"(으)로 총 1,93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행성은 돌고 돌지, 타원으로!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행성의 운동을 설명하는 ‘케플러 법칙’을 만들었어요. 둥글지만 원이 아니다?타원은 고대 그리스 수학자 아폴로니우스가 원뿔을 연구하며 처음 알려진 도형이에요. 원뿔은 고깔모자처럼 밑면이 원이고, 옆면이 굽은 면인 입체도형이지요. 아폴로니우스는 원뿔을 비스듬히 자르면 만들어지는 ... ...
- [기획] 아폴론의 저주를 풀어라! 2500년의 도전수학동아 l2022년 04호
- 450년 즈음 고대 그리스였던가. 태양의 신인 나를 부정하는 수학자 아낙사고라스를 혼내 주기 위해 태양을 네모나게 만들어 버렸다!태양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려면 내가 낸 문제를 풀어야 하지!과연 인간들은 곡선의 원을 직선인 네모로 만들 수 있을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 ...
- [4컷 만화] 머릿니, 고대인의 일기장이 되어 주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이번에는 서캐 속 DNA로 미라를 손상하지 않고도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페로티 교수는 “고대 머릿니는 유전학적 정보 외에도 수천 년 전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죽었는지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이달의 식물사연] 열대의 숲속을 밝히는 횃불생강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에 속하며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말레이시아, 태국 남부 등 열대지방이 원산지다. 고대부터 식용, 약용,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많은 사랑을 받아온 식물이다. 그래서인지 발리의 유명 관광지인 브두굴 시장 노점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오늘날엔 싱가포르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중국, 호주 ... ...
- 역사│인간의 숨결에서 향이 탄생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추정했다.사람들은 향료를 오래 보관하는 문제에 맞닥뜨리게 됐다. 기록에 따르면 고대 아라비아에서 수증기를 이용해 향을 보존하는 방법을 최초로 발명했다. 이 제조법은 십자군 전쟁 등을 통해 ‘장미수’라는 이름으로 유럽에 전달됐고, 유럽에서 더 발전된 제조법을 개발하면서 근대 향수의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눈에 띄는 푸른 빛을 낸답니다. 작은개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은 고대 그리스어로 ‘개보다 앞선다’는 뜻이에요. 큰개자리의 시리우스보다 항상 먼저 뜨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죠. 자, 그럼 여기서 퀴즈! 다음 별자리 중 현재 불리지 않는 별자리 이름은 무엇일까요?① 큰개자리② ... ...
- [폴리매스 미궁 1004 미리보기] 갑자기 나타난 왕자수학동아 l2022년 03호
- 고대어를 할 줄 아는 여자아이가 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찾아왔다. 유적을 발굴하려면 고대어를 잘하는 사람이 필요하거든. 나를 도와준다면 너희를 우리 부족에 받아 주고 후하게 사례하겠다.” 처음 보는 사람을 믿을 수는 없었지만, 지금으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티티르가 소녀를 ... ...
- [기획] 특이한 뼈를 가졌군? 신종 공룡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골편이 튀어나와 꼬리를 감싸고 있었거든요. 연구팀은 스테구로스 엘렝가센의 꼬리가 고대 아스테카 전사들이 휘두른 무기인 ‘마쿠아우이틀’과 닮았다고 했어요. 포식자들을 물리치기 위해 꼬리를 좌우로 흔들며 무기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했지요 ... ...
- [폴리매스 미궁] 난관에 빠진 티티르와 소녀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너, 서...설마 고대어를 읽을 수 있는 것이냐? 어디서 배웠지?”“배...배워? 모, 몰라요. 그냥 알아요.” 그말을 듣자 부족장이 분노하며 큰 소리로 외 ... 왔 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이방인을 부족에 들였다는 모함에 티티르는 소녀와 함께 고대 문자와 기호가 가득한 감옥에 갇히는데... ...
- [이달의 책] 궁극의 이론을 향한 물리학자의 여정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책에서 미치오 카쿠는 단 하나의 방정식을 향한 2000년이 넘는 여정을 차근차근 살펴본다. 고대 그리스의 원자론에서부터 뉴턴의 고전역학,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보어와 하이젠베르크 등의 양자역학, 표준모형, 그리고 끈 이론과 M이론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우주를 더듬더듬 읽어나가는 과정을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