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등학교"(으)로 총 2,10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학창시설] 시인을 꿈꾸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물리천문학부가 멋져 보이기도 했고요(웃음). Q. 대학생 시절은 어땠나요? A. 중고등학교 시절처럼 학교 수업을 듣는 것이 여전히 힘들었어요. 공부도 너무 어려웠고요. 목표도 점점 잃고 방황하다가, 결국 3학년 1학기에 모든 과목에서 D와 F를 받았어요. 이후 8개월간 집에만 틀어박혀 있을 정도로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대수기하학을 통해 조합론의 문제를 해결하는 비교적 새로운 분야입니다. 조합론이란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나오는 ‘경우의 수’를 통해 익숙한 분야입니다. 예를 들면 ‘쾨니히스베르크의 일곱 개의 다리를 모두 건너는데 어떤 다리도 두 번 건너지 않게 할 수 있는가’ 등의 문제처럼 ... ...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아니라, ‘표수가 0인 체’ 위에서 표현된 행렬에서도 참이라는 것을 보였지요. 우리가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실수, 복소수 등의 대부분 수체계는 표수가 0인 체입니다. 그런데 이 추측을 증명하면서 조합론의 방법론은 쓰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세미나를 다 들어도 그 결과가 중요하고 흥미로운 ... ...
-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수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할 계획”이라고 했다.20분짜리 짧은 연극을 공연하러 간 어느 고등학교 교무실에 과학동아가 꽂혀있는 모습을 보며 “우리도 여기에 인터뷰가 실리면 좋겠다”고 했다는 그들이다. 주 대표는 “단원들 모두 즐겨보던 매체라 과학동아와 인터뷰를 한다는 게 신기하다”고 ... ...
- [슬기로은 세특 생활] 내신3.9로 고려대 간호대학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8호
- 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고등학생부터는 천천히 관심 분야를 찾기 시작해야 합니다.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이라면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2학년이라면 관심 분야를 조금 더 구체화하길 권합니다. 본인 생기부의 전반적인 컨셉에 맞춰 비교과 활동을 채워 넣는 것도 필요해요. 또 학업 성적도 ... ...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없다고 이야기하던 우리 교육 체계에서 희망을 발견한 것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데 그가 고등학교 시절에 학교에서 좌절을 겪고 자퇴한 뒤 검정고시로 대학에 진학한 이력은 흥미롭습니다. 입시 중심의 학교 교육이 가진 문제를 우회한 것일까요. 게다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에 입학했지만, 대학 ... ...
- 소수의 비밀에 다가가는 연구로 성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는 1987년 영국에서 출생해 2013년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로저 히스브라운 교수의 지도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현재 옥스퍼드대에서 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지요. 메이나드 교수는 2013년부터 다수의 연구를 발표했는데, 주요 연구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
- 확률론 방식으로 통계물리의 모형 연구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위고 뒤미닐-코팽 교수는 이미 몇 년 전부터 확률론계에서 유명 인사였습니다. 2016년 그는 당시 만 31세의 젊은 나이에 세계 최고의 연구기관 중 하나인 프랑스 고등과학연구소(IHES)에서 최연소로 종신 교수직을 받고, 2018 세계수학자대회(ICM)에서 초청강연을 했습니다. 그런 그가 필즈상을 받는 것이 ... ...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상] 수리물리학의 살아있는 전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응용수학 분야 공로상인 2022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상의 영예는 엘리엇 리브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물리학 겸임 교수에게 돌아갔습니다. 리브 교수는 수학과 물리학 두 분야의 경계를 넘나들며 응용수학의 발전을 이끌었습니다. “양자정보이론, 통계역학, 고체물리학 등 여러 과학 분 ... ...
- [조합론과 만나다] “수학자에게 공동연구는 필수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Q. 2018년엔 2명의 수학자와 함께 리드의 추측의 확장판인 ‘로타의 추측’까지 해결하셨어요. A. 리드의 추측을 해결한 제 논문을 보고 당시 박사후연구원이었던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교수가 먼저 이메일을 보내왔어요. 제가 리드의 추측을 해결한 방법을 이용하면 다른 추측도 해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