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형"(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콤달콤 놀이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쓴맛’으로 꼽은 초등수학 내용을 달콤하게 바꿔 드려요. 이번 주제는 ‘둘레’예요. 도형의 둘레를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보고, 우리 주변 사물의 둘레를 직접 구해 보세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수콤달콤 놀이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Part1.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 ...
- [어수티콘 사전] 둘레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포함돼있어요. 수학에서 둘레는 도형의 테두리를 한 바퀴 돈 길이를 의미해요. 평면도형의 둘레를 구할 때는 각 변의 길이를 모두 합하면 되지요. 어수동 : 그런데, 원에는 변이 없는데…. 원의 둘레는 어떻게 구하나요? 원의 둘레는 ‘원주’라고 해요. 원의 둘레에 맞춰 실을 놓은 다음 그 실의 ... ...
- [특집] 얼마나 아니? 비눗방울 퀴즈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문제(Bubble problem)’라 부르고 연구했어요. 비눗방울 문제 a차원에서 부피가 동일한 도형 n개를 합쳤을 때 표면적이 최소가 되는 모양은 비눗방울 n개가 붙어 있는 모양과 같을까? 3차원에서 비눗방울이 2개일 때 문제는 2002년 네 명의 수학자 프랭크 모건, 마이클 허칭스, 마누엘 리토레, ...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11. 삼각형의 내심이냐 외심이냐, 어떤 이등분선인지가 문제!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중요한데요. 내심과 외심, 두 개념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봐요. 중학교 2학년 ‘도형의 성질’ 단원에서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을 배워요. 그런데 예각삼각형이면 두 점 모두 삼각형 안에 있어 헷갈리기 쉬운데요. 변의 수직이등분선인지, 내각의 이등분선인지만 확인하면 쉽게 문제를 풀 수 있어요 ... ...
- [특집] 비눗방울 3개 문제는 ‘입체사영’으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손전등으로 아래를 비춰 그림자를 만드는 거예요. 이렇게 만들어진 그림자는 원래 도형의 모양과 각도를 유지한다는 큰 장점이 있어요. 여기서는 그림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2차원에서 3개 비눗방울 모양을 구하는 경우를 알아볼게요 ... ...
- [특집] “3년 동안 남긴 400쪽 메모의 결실이에요!”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방문했는데 그때 우리 모두 둘레의 길이가 같을 때 넓이가 최대인 도형을 찾는 ‘등주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았어요. 이후 함께 연구를 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다 2018년 특수한 공간에서 비눗방울 문제인 가우스 가중치 비눗방울 문제를 함께 해결했는데, 이때 사용한 방법으로 ... ...
- [수학 체험실] 무한 계단을 따라 째깍째깍 흘러가는 시계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펜로즈 삼각형은 3차원에서는 실현이 불가능하지만, 눈의 착각을 이용해 만든 2차원 착시 도형이다. 102쪽의 무한 계단은 펜로즈 삼각형의 변형인 ‘펜로즈 계단’이다. 이 계단 역시 2차원에서만 구현이 가능하다. 펜로즈 삼각형과 펜로즈 계단은 각각 1934년과 1937년 스웨덴 화가 오스카르 ... ...
- [수학체험실] 꼭꼭 숨어라, 곱셈 보일라! 문살 무드등 만들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등 다양한 식에서 곱셈을 표현하고 있다. 곱셈 기호가 발명되기 전, 인류는 자연물과 도형을 이용해 곱셈 계산을 했다. 그 중 ‘문살 곱셈’은 전통 가옥 문의 뼈대가 되는 살끼리 만나는 교차점의 개수로 곱셈을 하는 방법으로, 그 유래는 중국과 인도로 추정된다. 문살 곱셈은 곱하고자 하는 수의 ... ...
- [숫자뉴스] 물고기도 3+1 계산할 줄 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골랐어요. 3개의 노란 도형을 보여준 뒤 2개, 1개의 노란 도형을 보여줬을 때는 2개의 노란 도형을 정확히 골랐지요. 연구를 이끈 본대학교의 베라 슐뤼셀 교수는 “물고기들이 1을 더하거나 뺀다는 규칙을 이해했다”면서 “사람과 새, 포유류뿐만 아니라, 물고기, 꿀벌, 거미와 같은 동물도 수학 ... ...
- [기획] 다섯 글자로 말하는 수학 내 일의 원천!수학동아 l2022년 10호
- 향상됐어요. 또 저는 어떤 발표 원고를 쓸 때, 내용의 핵심 키워드를 도형에 담아요. 이 도형들을 선으로 연결해서 다이어그램으로 만들어 흐름도 형식으로 원고를 작성하는 거예요. 연설할 때 머릿속에 이 흐름도를 그려가며 이야기하지요. 이러한 습관이 정치와 행정에 큰 도움이 됐어요. 저는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