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형"(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기자의 책장] 기묘한 수학의 세계로 초대합니다!수학동아 l2022년 06호
- 가위로 자르지 않고 어떤 도형을 찰흙처럼 주물러 다른 도형으로 만들 수 있으면 두 도형을 같다고 보거든요. 이처럼 수학은 참 알쏭달쏭하고 기묘합니다. 어찌 보면 인류가 수학을 처음 시작하게 된 것 자체도 기묘하죠. 사람들은 어떻게 수를 셀 수 있었을까요? 돌 하나,양 한 마리,물 한 동이처럼 ... ...
- [특집] 납작한 종이로 기둥과 상자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해요. 그중에서도 삼각기둥은 두 밑면이 삼각형이고, 밑면을 둘러싼 면의 개수가 3개인 도형이지요. 삼각기둥도 종이로 만들 수 있어요! 페퍼의 ‘직육면체’ 잡동사니 상자 이번에는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작은 상자를 만들어 볼까요? 물론 종이 한 장을 이용해, 풀과 가위 없이 말이에요 ... ...
- [출동! 슈퍼M] “다리가 4개인 의자, 왜 흔들거리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생각하고 점들을 선으로 이으면 평면도형이 생기는데, 만약 몸의 무게중심이 이 도형의 바깥에 있게 되면 안정을 잃게 돼요. 무게중심은 물체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균형을 잡는 점을 말하지요. 아래 그림에서 가운데 찍힌 점이 바로 무게중심이에요. 무게중심으로부터 다각형의 한 ... ...
- [가상 인터뷰] 물고기도 덧셈, 뺄셈이 가능하다고?수학동아 l2022년 05호
- 하라는 뜻이고, 노란색 삼각형 3개가 제시되면 ‘3 1’을 하라는 의미입니다. 이처럼 도형이 그려진 슬라이드를 5초간 보여 주고 정답과 오답이 그려진 두 가지 슬라이드 중 한쪽으로 가도록 했어요. 정답 슬라이드로 가면 먹이를 줬지요. Q. 정말 연산을 할 수 있었나요? 그럼요. 1에서 5 사이의 ... ...
- [수학 기자의 책장] 이렇게 재미있는 수학 봤어?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선생님들이 쓰신 이에요! 이 책은 수의 발견, 연산의 발견, 도형의 발견 이렇게 총 세 권으로 구성돼 있어요. 수학 교과서에 나오는 개념들을 더욱 쉽고 재미있게 풀어냈지요. 수학 개념을 무작정 외우는 방법은 학습에 도움되지 않아요. 대신 그 개념이 어떤 원리로 어떻게 ... ...
- [특집] 행성은 돌고 돌지, 타원으로!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완전히 다른 도형이에요. 원은 하나의 중심점에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이은 도형이에요. 원 위의 어떤 점이든 중심점까지의 길이가 모두 같지요. 반면 타원은 중심점이 2개예요. 예를 들어 타원의 중심점 2개에 ❶, ❷라고 번호를 붙이고, 타원 위의 어떤 점 2개를 A, B라고 해봐요. ❶에서 ... ...
- [2022 필즈상 예측] 함수의 뿌리를 탐구한 알렉산드르 로구노프 교수, 베일에 싸인 미분기하학 고수 쑨쏭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다양체는 기하학적 대상으로, 엄밀히 말하면 도형은 아니에요. 하지만 한 차원 높은 도형이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예를 들어 3차원인 아주 큰 구가 있을 때 구 표면을 기어 다니는 개미는 주변을 2차원 평면이라고 생각할 거예요. 이처럼 부분적으로 봤을 때 한 차원 낮은 공간을 갖는 대상을 ... ...
- [수학체험실] 에셔 작품 따라잡기 헤슈 타일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보자. 헤슈 타일이란? ‘테셀레이션’은 어떠한 빈틈이나 겹침 없이 평면이나 공간을 도형으로 완벽하게 덮는 것을 말한다. 우리 생활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거리의 보도블록, 욕실의 타일, 벽화, 궁궐의 단청이 있다. 또한 예술작품에서도 나타나는데, 네덜란드의 판화가 ...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으로 인공지능을 연착률시킬래요!" 현윤석 인하대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전공으로 한 이유는요? 대수기하학은 원(x+y=r)처럼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도형, 정확하게 말하면 ‘대수다양체’를 연구하는 학문이에요. 박사 과정 때 여러 전공을 탐색하다가 대수기하학에 확 꽂혔지요. 기하는 건물, 천체, 지도 등 현실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어서 어렸을 때부터 더 공부해 ... ...
- [수학자 가상인터뷰] ‘정확한’ 수학이 좋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작은 수 앞에 –를 붙여 음수를 나타내자, 음수가 차츰 인정받았어요. 또 좌표 덕분에 도형을 모두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고, 이후 내비게이션, 로봇, 인공위성 같은 각종 첨단 기술도 등장할 수 있었지요! 수학을 특히 좋아한 이유는 뭔가요? 저는 ‘근대 철학의 아버지’라고 불릴 정도로 철학을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