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니메이션
카툰
만평
만화
시사만화
만화가
애니매이션
d라이브러리
"
만화영화
"(으)로 총 30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과 원자, 포도 분자?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963년 만들어진
만화영화
‘우주소년 아톰’(철완 아톰, Mighty Atom)은 일본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다. 초등학생 사이에서 인기를 끌던 로봇‘아톰’의 이름이 바로 원자(atom)다! 일상생활에서도 친숙한 아톰(원자)과 분자라는 이름이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역사 속으로 ... ...
동요나라 과학메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에서)개구리 소년 개구리 소년네가 울면 무지개 연못에 비가 온단다개구리소년 왕눈이(
만화영화
)개구리는 허파로 호흡하지만 완전하지는 않고 피부로도 호흡을 한다. 개구리의 피부가 젖어 있는 이유도 숨을 잘 쉬게 하기 위해서다. 피부가 젖어 있으면 공기 속의 산소를 빨아들이기 쉽다. 개구리는 ... ...
1. 첨단과학에 코드 맞춘 SF '스타트렉'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방영하는 게릴라식 전술로 끝을 맺었다.오리지널 시리즈가 종영된 뒤 1973년부터 2년 동안
만화영화
로 각색된 시리즈가 선을 보였고 원작도 각지의 지방방송을 통해 꾸준히 재방영됐다. 그렇게 세월이 흐르면서 스타트렉의 팬들은 계속 늘어났는데, 1987년에 새롭게 시작한 ‘스타트렉:그 다음 세대’ ... ...
우주로 날아가는 999 기차역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교각이 샤프심처럼 언제 뚝 부러질지 모른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판타지영업부는
만화영화
에서 교각 윗부분에 달려 있는 타원 모양의 장식물을 이용했다. 이 장식물 안에 흔들리는 추를 넣은 것이다. 이 추는 교각이 흔들리는 반대방향으로 흔들려 균형을 맞춰준다. 이런 기술을 ‘액티브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음정의 높낮이를 조절한다애니메이션 그림들의 특정한 한장을 1프레임(frame)이라고 한다
만화영화
, 영화 등에서는 초당 30프레임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1초당 30프레임 이상이면 인간의 시각으로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변화를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컴퓨터 게임에서는 보통 초당 30프레임 이하를 ... ...
태권V 이단옆차기 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큰 영광이었죠.”태권도가 국기로 인정받아 국기원이 설립된 때는 1972년. 태권도를
만화영화
로 표현하는 것 역시 많은 관심을 모았다. 이에 유 사범은 직접 시범을 보이며 태권V의 동작을 만들어 갔다.“태권도 기본자세를 보면 하나하나 의미가 있습니다. 주먹을 말아 쥔다든지 손끝에 힘을 줘 ... ...
'궁' 스튜디오, 컴퓨터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세종로 끝으로 경복궁이 보인다. 청와대는 온데간데 없다. 21세기 대한민국은 입헌군주국. 국가 원수는 대통령이 아니라 황제폐하다. 드라마 궁은 ‘좌우당간’ 이렇게 시작된다. 영국에 윌리엄 왕자가 있다면 우리에겐 ‘이신’ 황태자가 있고, 버킹검 궁이 영국 왕실의 상징이라면 우리에겐 경복 ... ...
로봇을 통해 휴머니즘 그리고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대한 지나친 미화는 자칫 우리를 맹신과 우울증에 빠뜨릴 수도 있어. 로봇이 주인공인
만화영화
지만 사람 냄새를 풍기게 하고 싶었어. 능력 있고 예쁘지만 결국 기계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메리를 통해 인간 존엄성을, 왕따 과학자인 카프 박사를 통해 차별 받는 이의 고뇌를 보여주고 싶었지 ... ...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내진설계 등 특수 설계가 필요하다. 보안상 지하나 반지하가 적당하다. 기지 위치는
만화영화
속에서는 산 속이지만 실제로 태권V가 로켓처럼 이륙하기 위해서는 우주기지가 있는 남해안 외나로도가 적당해 보인다. 우주센터 부지가 150만평이고 시설은 약 8만평 정도이니 기지 공간은 충분해 ... ...
4. 한반도 지키는 태권 거인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한국 애니메이션의 시작은 1956년 개국한 HLKZ TV 방송국의 미술 담당 문달부 씨가 만든 치약 CF에서 출발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1967년 신동헌 화백의 장편 애니메이션 ‘홍길동’이 대한극장에서 흥행하면서 한국 애니메이션은 중흥기가 시작되는 듯 했으나, 1970년대 TV가 안방에 들어오면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