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흉내
모사
되풀이
의태
흉내내기
답습
모의
d라이브러리
"
모방
"(으)로 총 739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이완) 잡아당기는(수축) 과정을 통해 근육이 움직입니다. 소바주 교수팀은 이를
모방
해 평행하게 연결된 두 개의 로탁세인 분자가 특정한 화학적 환경에서 서로 잡아당기거나 밀어낼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로탁세인은 컴퓨터 메모리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서 데이터는 0 또는 1로 ... ...
[과학뉴스] 흰 딱정벌레
모방
한 친환경 흰색 코팅제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제품에 깨끗하고 청결한 느낌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표백제는 장기간 사용 시 피부염이나, 심각한 경우 암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과학자들이 친환경섬유인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를 이용해 인체에 해가 없는 흰 코팅제를 만들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핀란드 알토대 공동연구팀은 남아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16년에는 17위를 기록하며 점차 상승하는 추세다. 구체적으로 신약 분야에서 중국은 ‘
모방
제조’라는 타이틀을 벗고 ‘창조 제조’ 시장을 열었다. 약과 의료 설비의 95%를 해외에 의존하던 형태에서 탈피해 국가기본약물의 15.3%를 자체 생산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굴기로의 성장이 눈에 띈다.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기관을 결합하는 연구가 많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 소속 위스생체
모방
공학연구소(Wyss Institute for Biologically InspiredEngineering)의 박성진 연구원, 케빈 킷 파커 교수 등과 함께 쥐의 심장근육세포를 붙인 ‘가오리 로봇’을 만들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16년 7월 8일자에 공개했다 ...
[과학뉴스] 전기뱀장어
모방
한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전기발생세포가 직렬로 연결돼 있어 약 600V까지 전압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모방
했다. 양이온 또는 음이온만을 통과시키는 3차원 이온 교환막을 일정한 간격으로 직렬 배치한 것이다. 그 결과 수 mm의 크기에서 1V 정도의 전압을 얻는 데 성공했다. 박 교수는 “작은 부피에서도 높은 전압을 발생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팔을 움직일 때 이두박근과 삼두박근이 서로 번갈아 당겨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모방
해 두 개의 유압 실린더를 단 액추에이터를 개발했다. 이 액추에이터를 로봇 팔에 부착해 로봇 손목이 최대 210도까지 움직이도록 했다. 로봇손에 액추에이터와 전기모터를 둘 다 적용하자 최대 30kg까지 들어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연구를 진행하고 있어요. 뉴로모픽 칩은 뇌의 신경세포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을
모방
해서 만든 반도체예요. 실제 사람의 뇌처럼 적은 에너지로 수많은 정보를 처리할 수 있지요. 또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이 있어서 다양한 비행 상황을 자율적으로 익힐 수 있어요. 날개의 금속 탐침 덕분에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때리는 형벌을 의미하는 ‘칠 복(攵=攴)’과 여러 방향으로 퍼져나간다는 뜻의 ‘
모방
(方)’이 합쳐져서 만들어졌어요. 이를 해석하면 ‘사람을 먼 곳으로 내쫓는 형벌’이라는 뜻이지요. 이 뜻이 확장되어서 ‘놓다’라는 의미로도 쓰인답니다. ‘날 출(出)’은 발바닥을 본떠 만든 ‘발 지(止)’에 ...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우주에도 종이접기 로봇이 진출할 예정이랍니다.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종이접기를
모방
한 로봇으로 화성을 탐사할 계획을 세우고 있어요. 이 로봇의 이름은 ‘복어’를 뜻하는 ‘PUFFER’로, ‘Pop-Up Flat Folding Explorer Robot(몸을 접어서 납작하게 만들 수 있는 탐사 로봇)’이라는 정식 명칭에서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얼굴 인식 정확도가 90%를 넘는다”고 말했다. 명암 변화 감지 ‘알파 아마크린’ 세포
모방
뇌의 얼굴 인식 능력에 과학기술이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최근에는 애플이 선보인 스마트폰 ‘아이폰X(텐)’에 얼굴 인식 시스템인 ‘페이스ID’가 탑재됐다. 얼굴 인식 기술 개발은 1970년대 초부터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